민병진의 치아사랑(13)

입력 2010-01-25 12:36

교정치료로 매력있는 얼굴 만들기

추운지방에 사는 암펭귄은 배우자를 선택할 때 맨 산란한 알을 부화시키는 동안

가족을 잘 돌볼 수 있는 펭귄을 고른다.

아시아의 정글에서 생활하는 갤루스라는 숫새는 머리에 화려한 깃털을 가지고 있다.

이 깃털은 기생충의 침입에 의해서 빛을 바래게 된다. 암새가 배우자를 선택하는 기준도

기생충에 저항하는 능력을 가진 배우자다. 새끼들이 항상 화려한 깃털을 유지하기 바라기 때문이다.

매력적인 얼굴의 기준

생화학자들의 의견에 따르면 동물의 세계에서 매력이라는 것은 종족의

우수성에 기인한다고 한다.

그러면 과연 인간세상에서는 어떠할까?

널리 알려진 사실처럼 아름다움이란 시대에 따라서, 지역에 따라서 문화에 따라서 변천한다.

그러나 새로운 연구들에 따르면 앞서 말한 모든 것을 뛰어넘는 아름다움의 기준이 있으며 이것은 과거에는 우리가 정확하게 인식하지는 못하였지만 많은 실험에 의해서 아름다운 얼굴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

새로운 아름다움의 기준은 얼굴을 구성하는 뼈의 크기와 좌우대칭, 얼굴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비율 등이 있다. 연구에 다르면 영국과 인도와 중국 여성들에게 그리스 조각을 보여주고 매력있는 얼굴의 등급을 매기게 한 결과 마치 세나라의 여성들이 한 집에서 생활하는 것처럼 같은 대답을 하였다고 한다.

또 다른 심리학 연구에 의하면 갓 태어난 아기들을 어른들의 기준에서 볼 때 매력적인 얼굴과 아닌 얼굴의 사진 앞에 앉힌 결과 아기들이 매력적인 얼굴을 더 오랫동안 쳐다본다는 보고를 하고 있다.

대칭이란

매력적인 얼굴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대칭성이며 이것은 신체의 좌우가 얼마나 완벽하게 일치하느냐 하는 점이다. 생물학자들에 따르면 안정된 성장발육의 환경 하에서는 신체좌우의 대칭성이 조화롭게 발달할 수 있으나 병이나 오염에 의해서 위협받은 경우의 성장 발육에서는 이것을 극복하지 못하는 경우 심각한 비대칭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대칭의 성장발육을 방해하는 요소는 문화의 변화나 개인의 식습관이나 집안의 전통적인 식습관 차이 때문이다. 연구에 따르면 오래 전 알래스카의 에스키모 조상들은 생식을 하는 문화를 가지고 있었으나 현대에 들어오면서 에스키모 자손들이 조상들의 전통을 따르지 않고 패스트푸드를 주식으로 함으로써 완전히 다른 형태의 얼굴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집안의 전통적인 음식이 있으며 이것이 꼼짝없이 자손들에게 전달되어 어린시절을 부모들이 좋아하는 기호의 식생활을 할 수밖에 없으며 결과로서 다양한 얼굴모양의 변화를 가져올 수 밖에 없게 된다. 진화론자들에 따르면 형태와 기능은 서로 상관적인 것이며 형태의 결정이 기능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며 기능의 변화가 형태를 결정하게 되므로 형태와 기능은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진화해 나갈 수밖에 없다고 한다.

이 사실을 뒷받침하는 워싱턴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지금까지의 성장발육이론은 뼈나 근육의 한 부분에서 더 많은 성장발육인자를 가지고 성장을 주도한다고 알려져왔으나 실제로는 서로서로 보완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성장발육을 이끌어간다고 발표하고 있다. 개인의 식습관도 이런 대칭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나쁜 치아에 의해서 한쪽으로 씹지 못해서 편측의 근육이 발달하거나 편측 뼈의 발육이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교정의 힘

이러한 선천적인 요소를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치아교정이다. 최근 많은 아동들과 성인들이 교정치료를 통해 문제들을 해결하고 있다. 특히 튀어나온 입을 개선시켜서 옆모습이 아주 예뻐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비뚤어진 치아를 곧게 만들어서 인상을 완전히 바꾸어주는 것도 볼 수 있다. 얼굴을 변화시키는 치료로는 성형수술도 있으나 이 수술은 환자들에게 여러 가지 부담을 주게되고 하지 않아도 될 치료를 과도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교정치료에 대해서는 칼럼을 통해 여러 번 언급한 적이 있으니 참고 바란다(문의 02-547-7708~9).

<민병진·서울치과병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