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도 “관심없다” 夢도 “무슨 소리”… 與 조기전대 물건너가
입력 2010-01-24 18:26
한나라당 내의 6·2 지방선거 전 조기 전당대회 개최론이 사실상 물건너간 것으로 보인다. 여권 주류는 물론 친박근혜계까지 조기 전대를 공식 반대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조기 전대론의 발원지인 친박계부터 부정적 입장을 분명히 했다. 친박계 이정현 의원은 24일 박근혜 전 대표와의 대화 내용을 전하며 “박 전 대표는 조기 전대를 ‘검토한 적도, 말한 적도, 논의한 적도 없다’고 밝혔다”고 말했다.
친박계 허태열 최고위원도 전화통화에서 “친박계 일각에서 조기 전대론이 나왔지만 일부의 생각일 뿐 박 전 대표나 친박계 대다수는 전혀 검토한 바 없다”며 “현 시점에서 해야 할 필요성도 느끼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친박계 핵심부가 서둘러 조기 전대론을 진화하고 나선 것은 박 전 대표의 ‘세종시 투쟁’이 마치 당권 장악을 위한 정치적 노림수로 비쳐지는 것을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친박계 인사는 “조기 전대론이 잘못 확산될 경우 자칫 박 전 대표의 ‘원칙’의 정치가 ‘꼼수’의 정치로 보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당 안팎에서는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하면 친박계 일부가 무작정 조기 전대론을 꺼냈겠느냐는 의구심도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조기 전대를 실제 세종시 출구전략 카드 중 하나로 상정해 놓고, 현실화 여부나 여권 주류의 의중을 떠보기 위해 제기해 본 게 아니냐는 분석도 있다.
아울러 세종시 수정안을 무력화하기 위한 차원에서 제기됐을 가능성도 나온다. 조기 전대론 자체가 세종시 수정안 폐기 목적이어서 현재 급피치를 내고 있는 여권 주류의 여론전에 바람을 빼기 위한 의도가 있었던 게 아니냐는 것이다.
여권 주류도 조기 전대론이 수정안 여론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 적극 방어에 들어갔다. 장광근 사무총장은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세종시 등 첨예한 문제를 코앞에 두고 나온 조기 전대론은 당의 결속과 단합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또 “조기 전대가 2월 말∼3월 초에 치러지면 새 지도부 임기가 2012년 총선 직전에 끝나게 되는데, 2년 뒤에는 공천권을 둘러싼 당내 갈등이 전쟁 수준이 될 것”이라며 “시기상으로도 부적절하다”고 덧붙였다.
정몽준 대표도 23일 광주지역 당협위원장들과의 무등산 산행에서 “현안이 많은 현 시점에 조기 전대가 적절한지 의문”이라고 부정적 의견을 피력했다. 어찌됐든 친이계와 친박계가 특정 사안에 대해 의견일치를 본 것은 드문 일이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