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인도 경제협력시대 열렸다

입력 2010-01-24 19:28

인도를 국빈 방문한 이명박 대통령은 오늘 만모한 싱 인도 총리와 정상회담을 한다. 올 1월 1일 발효된 한·인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을 통해 양국은 이미 동북아시아와 남아시아의 협력 강화에 합의했다. 이번 이 대통령 방문을 계기로 양국의 협력은 광범위하고 구체적으로 뿌리내릴 것이다.

CEPA는 자유무역협정(FTA)에 버금가는 협력체계다. 한국은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브릭스) 가운데 인도와 처음으로 CEPA를 맺었다. 인도는 IT 분야 중 소프트웨어 역량이 출중해 하드웨어 분야에 치우친 국내 IT 산업의 도약을 위해 매우 적절한 파트너다.

인도는 12억 인구의 40%가 문맹이고 4억명이 하루 1달러 이하로 사는 빈곤층인 데다 카스트 제도란 전근대적인 신분 제도도 뿌리 깊다. 반면 중산층이 3억명에 이르고 실질 구매력 기준으로 3조3000억 달러, 세계 4위의 소비시장을 갖췄다. 특히 물리 화학 의학 경제학 분야에서 각각 1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냈을 정도로 세계적인 기초과학 파워를 자랑한다.

골드만삭스는 일찌감치 인도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고 30년 내에 인도가 세계 톱클래스의 경제대국으로 부상할 것으로 내다봤다. 아직은 1인당 GDP(2008년 1070 달러)는 후진국에 속하지만 1990년대 이후 매년 7∼8%의 고성장을 지속해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양국의 협력 가능 분야는 대단히 많다. IT 분야의 결합은 말할 나위도 없고 인프라 부족으로 허덕이는 인도에서 한국은 공장 건설, 토지 개발, 공공시설 확충 등에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 자원대국이자 거대 소비시장인 인도와 한국 투자의 결합, 인도의 과학기술 인력을 활용한 연구소 및 엔지니어링센터 운용 등은 한국 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것이다.

문제는 인도와 인도 시장을 아는 국내 인력이 너무 부족하다는 데 있다. 시장은 이미 열려 뒤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이제부터라도 관련 인력 양성에 힘을 쏟아야 한다. 당장은 정부가 가이드 역할에 앞장설 수밖에 없겠지만 산·관·학이 한·인도 협력 확대를 위해 힘을 모아야 할 때다. 양국 정상회담의 성과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