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2012년 이후 김정일 유고 가능성 크다”
입력 2010-01-19 21:46
통일연구원은 19일 “북한이 김정일의 건강 이상과 후계 문제, 급변사태 가능성 등으로 가까운 장래에 큰 변화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통일연구원(원장 서재진)은 연구총서로 발간해 이날 배포한 ‘통일대계 탐색연구(이하 연구)’에서 “2012년 이후 북한에서는 김정일이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이 많다”면서 “김정일 이후 북한은 군부쿠데타와 같은 권력지도부의 변동, 주민 소요와 폭동, 대량학살, 대량난민 발생과 같은 급변사태가 발생할 개연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통일연구원은 국무총리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의 국책연구기관이다.
연구는 포스트 김정일 시대의 권력 구도와 관련해 3대 세습체제의 형성이나 집단지도체제의 등장, 또는 군부나 당의 실력자에 의한 1인 지배자 등장 등 세 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특히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3남인 정은으로 세습 체제가 형성되더라도 “정은의 연령과 경력의 일천함으로 인해 김정일 와병 이후 중요한 역할을 한 장성택(노동당 행정부장)의 후견체제가 성립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집단지도체제의 경우 “세습 후계자인 정은을 상징적 지도자로 놓고 당·정·군의 고위 간부들이 집단지도체제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지만, 수령유일체제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 한 과도기적 현상으로 갈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후계체제가 제대로 안착되지 못하고 김 위원장의 유고가 발생했을 경우 “김정일의 직계가족은 배제되고 국방위원회 중심의 집단지도체제나 당 중심의 지휘체제가 구축될 가능성이 높다”고 관측했다. 연구는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우리 정부가 북한의 연착륙을 위한 여건을 마련해 혼란의 규모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북한이 최근 급변사태 관련 정부의 행동계획이 정비됐다고 알려진 것에 대해 국방위원회 대변인 성명까지 내며 강하게 반발한 시점에서, 국책연구기관이 급변사태와 관련한 연구결과를 공개한 것은 이례적이다.
안의근 기자 pr4p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