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국민銀 사태 ‘관치’ 비판

입력 2010-01-18 21:20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최근 KB금융지주 사태와 관련, 한국 금융감독 당국을 비판하는 논조의 기사를 게재했다.

WSJ는 18일 ‘한국 감독당국, KB금융지주와 반목 심화’ 제하의 기사에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 금융감독 기관이 부실(troubled) 은행들에 대해 더욱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KB금융지주는 이런 범주에 들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자산 규모 2950억 달러(약 330조원)의 한국 최대 은행인 국민은행은 미국 모기지 부실 등에 대한 위험노출(익스포저)이 없었을 뿐 아니라 글로벌 금융위기가 시작되자마자 20억 달러의 대손충당금을 쌓을 정도로 우량 은행이라는 것.

WSJ는 감독당국과 KB금융지주의 반목으로 이미 두 명의 KB금융 최고경영자가 쫓겨났으며 황영기 전 회장의 경우 손실이 발생했을 때 전 직장인 우리금융지주를 떠났음에도 당초 투자계획을 승인했다는 이유로 책임을 물었다고 보도했다.

‘시장에 대한 간섭 축소’를 내걸었던 현 정부의 태도 변화도 도마에 올랐다. 이 신문은 “이명박 대통령은 경제에 대한 정부 간섭 축소를 옹호해 왔지만 이번 KB금융 사태에 대해서는 침묵을 지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국민은행은 이날 금융감독원의 사전검사 내용을 담은 자료 유출과 관련, 간부 A씨를 보직 해임했다고 밝혔다. 전략담당 부서장인 A씨는 지난달 말 노동조합에 금감원의 검사 상황을 설명하면서 ‘수검일보’를 전달했으며, 노조 전문위원이 이 문건을 야당 정치인에게 건넨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은행은 내부 조사를 마치는 대로 A씨에 대한 징계 수위를 결정할 예정이다.

국민은행 노조는 이날 홈페이지에 띄운 성명을 통해 “노조와 은행 간 체결된 회사발전협약에 따라 부득이하게 자료를 전달할 수밖에 없었던 부서장을 보직 해임한 것은 경영진이 스스로 감독당국의 압력에 굴복한 것”이라며 “이번 사태의 본질과 핵심은 문건 유출이 아니라 관치와 보복성 표적검사”라고 주장했다.

배병우 기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