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통합위원회 첫 회의… 고건 “北 조림사업 전국민 동참 보·혁갈등 해소”
입력 2010-01-18 21:51
계층·이념·지역·세대 간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출범한 대통령 소속 사회통합위원회가 18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19층 대회의실에서 첫 회의를 갖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고건 위원장은 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지역 나무심기 사업을 전 국민적으로 추진하겠다”며 “보수와 진보가 함께하는 이 사업을 통해 남·남 갈등을 완화하고 사회화합 풍토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회통합위는 이날 회의에서 10대 핵심사업 등을 논의한 뒤 운영 세칙을 의결했다. 본회의에 앞서 진보와 보수 진영을 대표하는 김우창 이화여대 석좌교수와 송복 연세대 명예교수가 각각 주제발표에 나섰다.
김 교수는 “갈등이 나쁜 게 아니라 그것을 해결할 토대를 갖지 못하는 게 나쁜 것”이라며 “합리적인 대화의 과정을 통해 갈등을 흡수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념적인 문제도 보수나 진보가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윤리와 사회규범 속에서 서로 토론할 수 있다면 반드시 해결할 수 있는 과제”라고 강조했다.
송 교수는 “현대사회에서 갈등은 병리현상이 아니라 정상현상”이라고 전제한 뒤 “따라서 갈등은 뿌리 뽑아야 하는 병이 아니라 항상 우리와 함께해야 하는 대상이자 조절의 대상”이라고 말했다. 이어 “통일은 하나가 되는 것이지만 통합은 여러 개가 되는 것인 만큼 우리 사회의 다양한 색채가 서로를 존중하는 여러 개로 공존하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두 학자는 갈등의 중간 해결 과정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면서도 당장 실천 분야에는 다소 다른 견해를 보였다. 김 교수는 “갈등은 반드시 물질적 토대를 갖고 있는 만큼 이를 찾아내 실질적으로 해결해주는 게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지나치게 개발주의에 기댄 나머지 환경보존 같은 가치에 대해 가혹한 잣대를 들이대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반면 송 교수는 사회 지도층의 솔선수범에 더 많은 무게를 뒀다. 그는 “지도층이 나서서 싸움 안 하기, 다른 지역 출신 간 결혼하기, 소통그룹 만들기 등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위원회는 4개 분과별로 역점사업을 논의했다. 계층 분과는 용산참사의 원인이 된 도시재정비사업 제도 개선과 근로빈곤층 대책 등을 다루기로 했다. 이념 분과는 21세기 미래지향적 국정운영 패러다임 모색 등 보수·진보가 함께하는 공동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지역 분과는 지역주의 해소를 위한 선거제도 개선 등의 사업을, 세대 분과는 세대별 일자리 공존과 가족 친화적 직장 만들기 사업에 나서기로 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