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민참여당의 가능성과 한계
입력 2010-01-18 18:41
국민참여당이 창당하자마자 민주당과 설전을 벌였다. 어제 민주당 최고위원회의는 참여당을 ‘선거용 정당’ ‘기생 정당’이라고 비난했다. 한 참석자는 “정신 못 차린 정치꾼들의 3류 지분정치”라며 “특정인의 정치적 출세를 위해 만들어진 정당”이라고 말했다. 참여당 측은 “지역독점 정치 구조로는 정치를 변화시킬 수 없다”며 창당의 당위성을 주장했다. 둘 다 지리멸렬한 야권 실상을 스스로 고백했다.
국민이 참여당을 바라보는 시선은 착잡하다. 참여당은 창당선언문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삶을 당원의 삶과 당의 정치적 실천을 규율하는 거울로 삼겠다”고 했다. ‘노무현당’ ‘노무현주의’를 선언한 것인데 정치적 파산자에게서 무엇을 계승한다는 것인지 이해하기 쉽지 않다.
민주당은 참여당을 비난하기 전에 자신을 반성해야 한다. 참여당 창당은 민주당이 18대 국회를 폭력국회, 일 안 하는 국회를 만드는 데 크게 기여한 데 따른 자업자득이기도 하다. 민주당이 건설적인 제1야당의 모습을 보여주었더라면 참여당이 파고들 틈새는 생기지 않았을 것이다.
참여당이나 민주당이나 지난 정권에서 열린우리당이란 이름으로 한 배를 탔다가 정권 재창출에 실패하면서 갈라진 세력이다. 벌써부터 민주당 일각에서 “효과적인 재통합을 위한 분립”이라는 주장이 나오는 걸로 보아 향후 두 당의 통합 논의도 있을 수 있겠다. 만약 참여당이 몸집을 불려서 합당 후 지분을 키우려는 속셈이라면 그야말로 노무현 정신의 파탄이라 하겠다.
참여당이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다. 특정 지역에 기반을 두지 않고 특이하지만 ‘노무현주의’를 내세운 이념 정당으로서의 가능성이다. 구체적은 아니지만 “지방연합정부를 전제로 정책을 기초로 한 선거연합 추진” 주장도 새롭다. 강소국 연방을 주장하는 자유선진당과 접점을 찾을 수도 있다.
이제는 진보세력도 한다발로 묶이지 않는 시대가 되었다. 참여당 이재정 대표 말처럼 “앞으로 10년, 50년, 100년의 미래를 국민과 함께 설계”하게 될지, 바다의 물거품처럼 꺼질지 지켜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