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임위원회 21개-부설기관 15개-특별위원회 12개… 한기총 안팎 구조조정 목소리
입력 2010-01-18 17:56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가 오는 28일 제16대 대표회장 체제 출범을 계기로 방대한 조직의 거품을 빼고 효율성과 공공성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한기총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현재 21개 상임위원회와 15개 부설기관, 12개 특별위원회 등의 방만한 조직만으론 전문성과 권위를 실은 정책 결정과 집행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사무처 기능을 대폭 강화하고 대정부·대사회·대교회적인 어젠다를 제시할 수 있는 싱크탱크의 상설화를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다.
연합기관장을 지낸 A목사는 “한기총이 마치 모든 것을 다 할 수 있는 것처럼 문어발식으로 사역하고 있어 많은 행사가 용두사미가 되곤 한다”면서 “하루 속히 가칭 ‘한기총 개혁(변화)특별위원회’를 출범시켜 교회 일치와 연합, 이단·사이비와 안티기독교 세력 대처 등 연합기관다운 일을 할 수 있도록 조직 개편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B목사는 “행정 지원에 머물고 있는 사무처를 기획과 정책개발 등까지 해낼 수 있는 보다 강한 조직으로 탈바꿈시키고 상임위 및 각 위원회 부설기관의 기능이 중복될 경우 과감히 폐지 또는 조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당장 조직 개편을 위해서 차기 대표회장이 우선 고려할 수 있는 게 사무처의 역할 변화다. 정관 개정과는 관계없이 직권으로 얼마든지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사실 사무국 선교국 교육국 등 현재의 3국 시스템으로는 방만한 상임위를 지원하기에도 벅차다. 이런 점에서 4명까지 국장을 둘 수 있는 정관에 따라 탁월한 기획력을 갖춘 인사를 영입하든지 내부 인원조정 및 충원을 통한 구조 변화를 시도할 수 있다.
상임위원장의 경우 대표회장의 친소관계나 회원교단 안배 차원에서 임명하기보다는 능력을 우선시해 한기총의 대내외 신뢰도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아울러 재정능력이 있는 상임위원장일 경우 활발하게 활동하는 기존 상임위 재정구조도 점차 바꿔나가야 한다. 상임위 개편은 정관 개정이 필요한 사항이지만 21개 상임위 가운데 청년대학생·청소년·유소년, 사회·복지·인권, 문화예술·스포츠 등 8개 위원회는 3개로 조정하는 것도 논의해볼 만하다. 과거 사회위원회가 복지와 인권 문제를 다룬 적이 있음을 감안하면 기능 중복을 쉽게 알 수 있다. 현재 상임위 구조가 대표회장 선거권을 가진 실행위원을 늘리는 그 이상의 기능을 하지 못한다는 평가도 적잖다.
부설기관의 조정도 필수적이다. 미래목회포럼, 평신도지도자 100만명훈련원, 한국교회청소년지도자대학, 사회복지대학원, 다세움상담목회대학원 등은 한기총의 이름을 내걸고 있지만 독립 운영되고 있다. 직영기관으로 돼 있는 합창단은 여성위원회에 들어가야 합리적이다. 아울러 교단에 비해 가입이 수월한 기관에 대해 철저한 실사와 함께 과연 한기총에 필요한 단체인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외연 확장이 오히려 한기총의 이미지 실추로 이어질 개연성이 있기 때문이다.
C목사는 “대표회장 및 총무 선거 등의 변수라는 얘기를 듣고 있는 한기총 총무협의회도 원래 창립 취지에 맞는 활동에만 국한시키든지 아니면 발전적으로 해체하는 방안도 솔직히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함태경 기자 zhuanji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