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제2 한옥마을’ 마찰… 관광 상품화 어렵고 舊도심 공동화 우려 목소리

입력 2010-01-18 19:16

전북 전주시가 추진 중인 제2의 한옥마을 조성 방안에 대해 찬반 논란이 일고 있다.

시 당국은 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 인근 지역 발전을 위해 제2의 한옥마을이 필요하다는 견해지만, 반대쪽에서는 역사성도 없는 인위적인 시설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전주시는 교동의 오목대∼이목대 지역과 동서학동의 대성리, 정수장 인근 등 모두 3곳을 후보지로 삼고 제2 한옥마을 조성계획을 검토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시는 15만∼26만여㎡인 이들 부지 가운데 1곳을 연말까지 최종 후보지로 선정해 장기적으로 한옥 300∼600채를 지어 관광상품화할 예정이다.

시는 현 한옥마을에 없는 한옥 유스호스텔 등의 숙박시설을 짓거나 주변 문화유산과 연계한 체험 중심의 관광지로 이곳을 조성하면 관광객 유입 효과가 클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반론도 만만치 않다. 새로 만드는 한옥마을은 문화 유적으로서의 역사성을 갖추지 못해 관광상품화가 어렵고 자칫 구(舊)도심의 공동화를 심화시킬 우려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실제로 제2 한옥마을 후보지로 꼽히는 3개 지역에는 한옥 군락이 형성된 곳이 없으며 이목대∼오목대를 제외한 2곳은 논과 밭이 대부분이어서 마을 자체를 새로 만들어야 한다.

여기에 1000억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되는 사업비를 어떻게 감당할 것인지와 경제성이 있을 것이냐는 지적도 뒤따르고 있다.

시의회 김남규 문화경제위원장은 “현재 한옥마을은 1930년대부터 70여년에 걸쳐 이어졌고, 전국의 여러 한옥촌과 달리 실제 주민이 거주하며 삶의 숨결이 스며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며 “한옥마을을 넓힌다면 주변에 있는 소규모 한옥을 대상으로 리모델링해야 도심 공동화도 막고 예산 낭비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