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노인사 주축 국민참여당 공식 출범… 야권 내 주도권 경쟁 본격화
입력 2010-01-17 18:43
친노 진영 인사들이 주축이 된 국민참여당이 17일 창당대회를 갖고 공식 출범했다. 참여당의 출범으로 야권 내 주도권 경쟁과 6월 지방선거 연대 논의도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여당은 오후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당원 등 40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창당대회를 열고 단독 출마한 이재정 전 통일부 장관을 당 대표로 선출했다. 온라인·모바일 투표로 실시된 최고위원 선거에선 천호선·이백만 전 청와대 홍보수석과 김영대 전 열린우리당 의원, 김충환 전 청와대 혁신비서관, 오옥만 제주도 의회 의원 등 5명이 당선됐다. 유시민 전 복지부 장관과 이병완 전 청와대 비서실장 등 핵심 인사들은 지방선거 출마를 준비 중이다. 유 전 장관도 “당의 뜻을 묻고 국민 의견을 살핀 뒤 당에서 방향이 잡히면 저도 지방선거에 참여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창당선언문을 통해 “대한민국 16대 대통령 노무현의 삶을 당원의 삶과 당의 정치적 실천을 규율하는 거울로 삼을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참여민주주의와 시민주권, 지역주의 정치 극복과 개방적 정치연합 등을 당 강령으로 제시했다.
참여당은 지방선거에서 당 지지율 20% 획득, 수도권과 영호남에서 당선자를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다만 참여당의 목표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특히 당의 전국 득표율이 비례대표 의석 수와 연결되는 총선과 달리 지방선거 성패는 지역별 선거에서 얼마나 많은 당선자를 배출하느냐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방선거 성패는 야권과의 후보 단일화 여부에 달려 있다. 참여당은 일단 야권 연대 필요성에 무게를 뒀다.
천호선 최고위원은 “지방연합정부를 전제로 한 정책을 기초로 선거연합을 추진한다는 입장”이라며 “지방선거 후 선거연합에 참여했던 정당들끼리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해 지방정부를 운영해나가자는 구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민주당은 지금까지 각종 선거에서 ‘당 대 당 단일 후보’ 시도가 실패한 사례가 많아 참여당 창당이 부담스러운 표정이다. 단일화 협상 결과에 따라 서울시장 선거의 경우 같은 친노계인 유 전 장관과 민주당 소속 한명숙 전 국무총리가 동시 출마, 야권표가 분산될 수 있는 상황도 올 수 있다는 것이다. 민주당 노영민 대변인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민주개혁 진영의 통합) 뜻을 무시할 정도의 설득력 있는 창당 명분은 없다”며 “힘을 합쳐도 모자란 상황에서 그 부족한 힘마저 꼭 나누어야만 하겠는가”라고 반문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