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김정일 육해공 합동훈련 참관사실 공개… ‘보복성전’ 엄포 후 첫 무력시위
입력 2010-01-17 21:10
“南의 체제위협엔 쐐기 박겠다”
대남 강경신호속 평화체제 강조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인민군 육·해·공군 합동훈련을 참관했다고 조선중앙방송이 17일 보도했다.
북한이 국방위원회 대변인 성명을 통해 ‘보복 성전’을 거론한 지 이틀 만에 사실상의 대남 ‘무력 시위’를 벌인 셈이다. 김 위원장이 1991년 12월 인민군 최고사령관에 올라 군 통수권을 장악한 뒤 육·해·공군 합동훈련을 참관한 사실이 언론에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훈련장에 도착한 김 위원장은 전망대에 올라 훈련 진행 계획에 대한 설명을 들은 뒤 합동훈련을 지켜봤다고 방송은 전했다.
방송은 “(훈련) 시작 구령이 내려지자 비행대들과 함선들, 각종 지상포들의 치밀한 협동으로 적 집단에 무자비한 불소나기가 들씌워졌으며 적지는 산산조각이 나고 불바다로 화했다”고 훈련 장면을 묘사했다.
북한이 국방위원회 대변인 성명과 대규모 합동훈련으로 잇따라 대남 강경 기조를 드러내고 있는 것은 최근 남한에서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비한 행동계획을 재정비한 데 대한 북한 군부의 강한 반발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한 남북관계 전문가는 “김대중 정부도 베를린 선언으로 흡수통일에 대한 의지가 없다는 점을 보여준 뒤 남북관계가 풀렸다”면서 “이번 급변사태 계획은 베를린 선언을 되돌리는 것으로 해석돼 북한의 아킬레스건을 건드린 것”이라고 분석했다.
북한이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을 서두르기 위해 일부러 과잉 대응을 하고 있다는 해석도 제기된다.
홍익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남북관계의 불안정성을 드러내면서 평화체제 문제가 시급하다는 점을 관련국에 보여주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이 지난해 7월부터 이어온 대남 평화공세 기조를 이어갈지에 대해서는 해석이 엇갈린다.
일각에서는 안보 문제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강경한 태도를 유지하겠지만 남북관계는 포기하지 않는 이른바 ‘투 트랙’ 전략을 가져갈 것으로 전망한다.
김용현 동국대 교수는 “2012년까지 강성대국의 대문을 열어야 할 북한이 무리하게 남북관계를 파탄내지는 않을 것”이라며 “이번 성명이나 합동훈련도 체제 위협 부분에 대해 명확하게 쐐기를 박겠다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남측의 대응 여부에 따라 남북관계가 중단될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금강산 실무접촉 제의나 남측의 옥수수 1만t 지원을 수용하겠다는 결정도 결국은 국방위 대변인 성명에 따라 중단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안의근 기자 pr4p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