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세종대 이어 고려대도 등록금 동결
입력 2010-01-15 14:33
MB “등록금 인상 자제를 가난한 아이들 희망 줘야”
이명박 대통령이 대학 등록금 인상 자제를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15일 청와대에서 대학교육협의회장인 이배용 이화여대 총장 등 21개 주요 대학 총장들을 초청해 오찬을 함께했다. 이 대통령은 “대학마다 어렵겠지만 올해 취업 후 등록금 상환제가 생기는데 등록금을 올리는 것은 학생들에게 나쁜 영향을 줄 수 있고 악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고려대 이기수 총장은 오찬간담회에서 “고려대도 등록금 동결에 참여하기로 했다”고 밝혔고, 국공립대총장협의회장인 전북대 서거석 총장은 “대부분의 국공립대 총장도 등록금 동결이 바람직하다고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중앙대 세종대 등은 14일 등록금 동결을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여야 합의로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를 통과한 등록금 상한제에 대한 반대 의견도 피력했다. 이 대통령은 “정부가 등록금을 올리고 제한하는 것에 원칙적으로 찬성하지 않는다. 그러면 관치교육이 된다. 근본적으로 반대 입장에 있다”며 “(대학이) 스스로 자율적으로 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김은혜 대변인은 그러나 “이 대통령의 발언이 거부권 행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소신을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입학사정관제를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대학 총장들에게 지난달 11일 청와대에서 만났던 이상근 김수자씨 부부의 사연을 소개했다. 이 대통령은 “김밥집을 하는 이 부부는 한 달 100만원을 벌어 70만원을 어려운 사람들에게 보내 준다. 아이들도 열심히 공부해서 학교에 잘 다닌다고 한다”며 “이런 아이들을 입학사정관제로 뽑아야 하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가난으로 공부할 기회를 갖지 못한 아이들에게 희망을 주는 것이 오늘 저와 여러분이 해야 할 일이라고 본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교육은 하루아침에 이뤄지는 것은 아니지만, 교육제도를 한 번 바꿔서 꾸준히 해나가면 교육 문화를 바꿀 수 있지 않겠나 생각한다. 입학사정관제도는 각 대학이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성공할 수 있다”고 당부했다. 오찬 간담회는 이 대통령이 올해 신년 연설에서 직접 교육문제를 챙기겠다고 밝힌 이후 열린 첫 교육관련 행사다.
남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