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30대 그룹에 고용창출 당부… 재계 ‘300만 일자리’ 팔 걷었다
입력 2010-01-14 22:05
재계가 가칭 ‘300만 고용창출위원회’를 구성해 일자리 창출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4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회장단 회의를 열고 선진국 수준의 인적자원 활용을 위해 300만개의 신규 일자리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이같이 결의했다.
전경련은 대기업 및 중소기업 대표, 업종 단체장 등 다양한 분야의 경제인들이 참여하는 ‘300만 고용창출위원회’를 구성해 일자리 창출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 위원회는 노동시장 경직성 완화 등 인력채용 애로요인을 발굴하고 금융·세제 지원 및 토지이용·진입·인허가 규제 완화 등과 양질의 일자리를 위한 기업규모 육성정책을 개발,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또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서비스산업과 녹색산업 등 신산업에서 새로운 사업 프로젝트를 제시하고 정책화를 유도하기로 했다. 이밖에 대형 국책사업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개별기업이 추진하는 투자프로젝트 애로를 찾아내 해소하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정부는 올해 정책 1순위인 일자리 창출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15일 오전 서울 남대문로 상의회관에서 30대 그룹 총수들을 불러 투자와 고용창출을 당부할 계획이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도 앞서 이날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일자리가 있어야 가정이 있고 국가 경제가 활성화된다”며 “성장과 고용의 선순환 고리를 만드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취업 시장 상황은 아직까지 개선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우선 중앙공무원 신규채용 규모는 올해 2514명으로 지난해 (3200명)에 비해 20%가량 줄어든다. 평균 1만명 이상의 대졸자를 소화했던 공공기관들의 올해 신규 채용규모는 지난해 수준인 7000명 정도에 그칠 것으로 예측된다.
일반 공기업에 비해 채용여력이 있는 금융기관들도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에서 신규채용을 검토하고 있다.
이명희 이성규 기자 mh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