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세종시 정국 어디로] 여의도에 떠도는 說…說…

입력 2010-01-14 21:54

박근혜 자책골說… 여론 반전땐 리더십에 상처 장기적으론 나쁘지 않을수도

토착비리 조사說… 반대의원 압박카드로 활용 일부 지역언론 논조 달라져


정치권에서 세종시 논란이 격해지고 있는 가운데 국회 주변에서는 각종 음모론과 추측들이 쏟아지고 있다.



가장 많이 거론되는 얘기는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자책골’ 설이다. 여권 주류가 향후 여론 반전을 통해 세종시 수정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고, 이렇게 될 경우 박 전 대표가 리더십을 상실하게 된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박 전 대표에게 나쁘지만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있다. 한 친박계 인사는 14일 “박 전 대표가 현재의 높은 지지율과 2인자 위상을 차기 대선까지 지속적으로 끌고 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한번은 세게 바닥을 친 뒤 다시 회복해가는 수순을 밟는 게 차기 대선 전략상 유리한데 세종시가 그럴 계기를 제공해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세종시 싸움에서 처참하게 패배하는 게 오히려 ‘박해받는 이미지’를 더 오래 유지해나갈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비슷한 맥락에서 여권 주류의 밀어붙이기가 세종시 수정이 목적이 아니라, 박 전 대표의 ‘몽니’ 이미지를 부각시켜 차기 주자의 반열에서 밀어내기 위한 차원이라는 얘기도 나돈다. 여권 주류가 세종시 문제에 일찍 종지부를 찍는 대신, ‘장기전’으로 끌고 가려는 것도 박 전 대표에 대한 이미지 훼손을 더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세종시 논란이 현 정권 최대 국책사업인 ‘4대강 방패막이용’이라는 해석도 있다. 올해 상반기 4대강 사업이 본격화될 예정인 가운데 세종시 논란 때문에 4대강 사업 반대 여론이 급속히 가라앉았고, 사업이 조기 안착할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여권 주류에서는 세종시 수정 성공 여부와 상관없이 4대강 사업이 안착되는 것만으로도 이미 ‘남는 장사’라는 생각도 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명박 대통령이 대대적인 척결을 지시한 ‘토착비리’가 세종시 수정 작업과도 관련돼 있지 않겠느냐는 얘기도 나돈다. 한 여권 인사는 “토착비리가 이미 상당 부분 조사돼 있는 것으로 안다”며 “아무래도 지역구 의원들과도 연관돼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친박계와 야권 역시 토착비리 수사가 세종시 수정안에 반대하는 의원들을 압박하는 카드로 악용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민주당 중진 의원은 “토착비리란 게 원래 지방 언론사들이나 언론사를 소유한 지역 유지들과 관련된 게 많다”며 “일부 지역 언론은 벌써부터 논조가 달라지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