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감목 개혁연대 ‘조건부 재선거 지지’
입력 2010-01-14 21:13
‘개혁총회’서 정책 로드맵 수정… 본부에 민의 수렴 요구
전국감리교목회자(전감목) 개혁연대가 ‘조건부 재선거 지지’로 정책 로드맵을 변경했다. ‘선(先) 재선거’와 ‘선 총회’ 측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상황에서 개혁총회를 주장해온 전감목의 전략 수정은 적지 않은 파장을 예고한다.
전감목은 14일 경기도 안산1대학에서 신년하례회 및 정책협의회를 열고 이같이 결론냈다. 이번 모임은 당초 회원 간 신년인사를 나누는 수준의 자리로 계획됐지만 지난 7일 긴급 처·국장회의에서 정책 방향까지 논의하기로 결정했다. 이규학 감독회장 직무대행이 총회 지지 세력들의 저지로 출근하지 못하고 있을 때였다.
신년하례회가 끝난 뒤 이 직무대행이 예고 없이 전감목 회의장을 방문했다. 그는 전감목 측에 선 재선거를 지지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전감목 회원들은 “본부가 추진하는 방식대로의 재선거는 받아들일 수 없다. 일방적으로 재선거를 추진하지 말고 교단 민의를 수렴해 달라”는 의사를 전했다.
이 직무대행이 자리를 뜬 뒤 본격 회의가 진행됐다. 조직의 향후 행보를 결정하는 자리인 만큼 3시간 이상 격론이 오갔다. ‘객관적 상황이나 자체 역량 등을 고려해 재선거 추진 그룹과 연대해야 한다’는 현실론과 ‘연합연회 형식의 개혁총회라는 조직 정체성을 훼손해서는 안된다’는 원칙론이 맞섰다. 난상토론 끝에 회의는 ‘교단 전체 의견을 수렴한 뒤 재선거를 치른다’는 다소 어정쩡한 결론으로 마무리됐다. 총회의 수렴 방법으로는 전국감리사회의나 전국목회자회의 개최를 본부에 요구키로 했다.
전감목이 정책 로드맵을 수정한 것은 감리교 상황이 당초 예상했던 것과 다른 쪽으로 전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감목은 선 총회 측과 선 재선거 측의 대립으로 사태 해결이 난항을 겪으면 결국 연합연회 형식의 개혁총회 입장이 힘을 받게 될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나 두 진영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면서 타협이나 연합연회 등 제3의 길을 모색할 수 있는 수준을 뛰어넘고 있다는 게 문제였다. 또 감리교 사태가 악화일로를 겪고 있는 데도 전감목이 연합연회 외에 다른 현실적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는 교단 안팎의 비판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