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동치는 지역 민심… 여권, 세종시 ‘3대 장애물’ 직면

입력 2010-01-13 21:54

小지역주의… 충청, 맹주자리 놓고 내부서 견제 - 블랙홀 논란… 영남, 세종시 퍼주기 역차별 우려 - 반MB 정서… 호남, 무덤덤하다 반대로 결집 양상

세종시 민심이 요동치고 있다. 정부의 수정안 발표와 박근혜 전 대표의 반대 입장 재천명 등 정치 이슈에 따라 출렁인다.

여권은 정치권의 공방 외에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지역여론 형성 과정에 변수가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 충청권의 소지역주의, 영남권의 퍼주기 논란, 호남권의 MB정책 반대라는 장애물이 있다는 분석이다. 물론 여권은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 발표 이후 전국적으로 수정안에 대한 찬성 여론이 반대보다 높은 것으로 자체 분석하고 있다. 다만 충청권은 반대 여론이 높다는 점이 고민이다. 수정안 발표 이전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여권으로선 만족하기 힘든 수치다. 특히 향후 영남과 호남의 민심 기류로 인해 수정안에 대한 찬성 여론이 다소 감소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여권 관계자는 13일 “전국 단위에서는 10% 우위, 충청권에서는 5% 정도 열세로 여론전이 귀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권 일각에서는 충청권 여론이 찬반 박빙으로 흐를 수 있다는 낙관적 전망을 내놓기도 한다.

그러나 대전과 청주 등 충청권 주요 도시의 반발이 발목을 잡고 있다. 대전은 충청권 맹주 자리를 세종시로 넘겨주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갖고 있다. 박성효 대전시장은 “큰집 잔치를 돕기 위해 작은집 돼지를 잡는 꼴이 될 수 있다”고 비판했다.

청주를 포함한 충북 민심은 수정안 발표 이후 더욱 냉랭해졌다는 것이 여권의 판단이다. 여권 관계자는 “같은 충청권이지만 충북에선 ‘우리에겐 뭘 해줬느냐’는 비판 여론이 조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수정안에 대한 지지를 보내줬던 영남권 기류 또한 심상찮다. 박근혜 전 대표의 반대 입장이 영향을 미쳤지만 세종시에 각종 산업이 몰려간다는 ‘블랙 홀’ 논란도 무시 못할 요인이다. 영남 기업들은 각종 세금을 다 내고 있는데, 세종시 입주 기업들은 세제 혜택에다 싼 가격으로 토지를 받아 장사한다는 역차별 주장이 거세다. 이런 ‘퍼주기’는 결국 국민 세금 부담으로 이어질 것이란 불멘소리도 나온다.

이런 블랙홀 논란은 사실 호남 지역에서 더욱 거세다. 여기에 호남의 ‘반 MB’ 정서가 세종시에도 그대로 투영되면서 호남 기류도 반대로 결집하는 양상을 보인다. 세종시 수정안이 대표적인 ‘MB정책’으로 자리매김하자 현 정부에 대한 비판이 세종시 수정 반대로 전이되는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번 주 예정됐다가 늦춰진 이명박 대통령의 대국민 입장 발표 등은 향후 여론 향배에 영향을 미칠 변수다. 여권 관계자는 “수정안에 대한 초기 여론은 이번 주말을 거쳐 모습을 나타낼 것”이라며 “그 이후 여론의 오르내림이 반복되다 설 연휴가 지난 2월 중순쯤 민심 향배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여론전이 장기화될 것이란 얘기다. 당분간 청와대와 정부, 한나라당이 모두 나서서 수정안 홍보를 벌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