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銀 총재들 “금융사 리스크관리 강화하라”… 위험선호 투자행태 재발 경고

입력 2010-01-12 19:13

각국 중앙은행 총재들이 은행 재무건전성 강화와 금융당국의 금융규제 개혁 지속을 다시 촉구했다. 각국 정부가 과도한 예산 적자 문제 해결에 나설 것도 주문했다.

스위스 바젤 국제결제은행(BIS)에서 열린 ‘중앙은행 총재 및 감독기관 수장회의(GHOS)’가 끝난 11일(현지시간) 장 클로드 트리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는 “각국 정부는 과도한 재정적자 문제를 고심해야 하며, 상업은행들은 재무제표를 강화해 예금자와 투자자들을 보호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금융기관을 비롯한 시장참여자들의 리스크 관리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 9∼10일 열린 이번 회의는 은행을 중심으로 금융기관들의 위험선호 현상이 다시 나타나고 있다는 징후가 강해짐에 따라 긴급 소집됐다. 벤 버냉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 마사키 시라카와 일본은행 총재, 저우 샤오촨 중국인민은행 총재 등이 참석했으며 상당수 민간 상업은행장들도 자리를 함께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주열 한국은행 부총재가 참석했다.

트리셰 총재 등은 함구했지만 상업은행장들과의 회동에서 은행의 고수익 위험선호 투자행태 재발 문제가 깊이 다뤄졌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에발트 노보트니 오스트리아 중앙은행 총재는 “금융시장에서 다시 나타나고 있는 위험 선호 행태는 특히 미국에서 문제가 되고 있지만, 다른 지역에서도 비슷한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국제 은행감독기구인 바젤위원회(BSBC)는 은행의 자기자본에 보통주 전환 의무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바젤위원회는 지난 10일 최고위급 회의에서 위기 시 보통주 전환을 의무화하는 요건을 기본자본(Tier1)과 보완자본(Tier2)의 자본인정 기준의 하나로 설정할지를 검토했다.

현재 기본자본에는 보통주와 우선주, 신종자본증권 등이 포함되며 보완자본에는 후순위채 등 부채성 자본도 들어간다. 자기자본에 보통주 전환 의무가 부과되면 은행들이 후순위채나 신종자본증권 등을 발행해 자기자본을 확충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배병우 김정현기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