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세종시 수정안] 세종시 16조5000억원 투입… 24만6000명 일자리

입력 2010-01-11 22:32


교육과학 중심 경제도시 공식 발표… 완료시점 10년 앞당겨

정부는 11일 행정부처의 세종시 이전계획을 백지화하고, 세종시 성격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와 대기업, 대학이 들어서는 교육과학 중심의 경제도시로 변경하는 수정안을 공식 발표했다.

기업의 경우 삼성, 한화, 웅진, 롯데, 오스트리아 SSF사 등 국내외 5개 기업이 4조5150억원을 투자해 2만2994명을 고용한다. 삼성그룹은 삼성전자, 삼성SDS, 삼성 LED 등 5개 계열사가 태양광발전, 연료용 전지, LED(발광다이오드), 데이터프로세싱, 콜센터, 바이오헬스케어 분야에 진출키로 했다. 한화그룹은 에너지 분야, 웅진그룹은 웅진케미컬과 에너지 통합연구센터, 롯데그룹은 식품연구소가 각각 진출키로 했다.

정운찬 국무총리는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세종시 발전방안’을 발표했다. 그러나 수정안 발표 이후에도 정치권 논란이 계속되고 있어 여론 변화가 세종시 수정안 처리 여부의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정부가 발표한 방안에 따르면 완공시기는 2030년에서 2020년까지 10년 앞당겼고, 일자리 창출은 8만4000명에서 24만6000명으로 세 배 늘었으며, 자족용지 비율 역시 6.7%에서 20.7%로 세 배 확대됐다. 투입금액은 정부 투자금액과 기업 투자금액을 합쳐 16조5000억원으로, 원안(8조5000억원)의 두 배로 늘었다.

특히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건설과 관련, 2015년까지 3조5000억원을 들여 핵심시설인 중이온가속기, 기초과학연구원 국제과학기술원 등이 건설된다. 대학은 고려대와 KAIST가 각각 100만㎡ 부지에 6012억원과 7700억원을 투자해 대학원과 연구기능 위주의 대학을 운영하기로 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세종시는 이 지역 특성에 맞춘 특화된 발전과 지역 성장, 나아가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순수한 정책사안”이라며 “정치현안과 구분해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르면 이번주 중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특별기자회견을 검토 중이며, 12일 김문수 경기지사 등 시·도지사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을 함께하는 등 ‘세종시 설득 행보’에 나선다.

정 총리는 “이번 계획을 완성해 나가는 데 저의 명예를 걸고자 한다”며 세종시 수정안 통과에 자신의 정치적 명운을 걸고 있음을 시사했다.

정부는 이번주 내로 입주 예정 기업·대학들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공청회 등을 통해 여론수렴을 거쳐 국회에서 행정도시특별법과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처리할 방침이다.

남도영 하윤해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