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수요↑ 신도시↓… 분양 시장 변화
입력 2010-01-11 21:48
청약률 제로 아파트가 속출하는 등 수도권 분양시장이 빠르게 냉각되고 있다. 이명박 정부 들어 도심 및 도심 근교 중심으로 주택 공급 정책을 수정한 영향이 시장에 반영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신도시에 비해 입지에서 강점을 보이는 보금자리주택 공급이 대거 예정돼 있는 상황에서 신도시가 과거처럼 흥행 보증수표가 되긴 힘든 상황이다.
금융결제원은 11일 경기도 김포 한강신도시 ‘자연앤e편한세상’은 3순위까지 823가구 모집에 46가구만 청약해 평균경쟁률 0.06대 1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같은 김포한강신도시에 분양한 ‘중흥S클래스리버티’ 역시 1434가구 모집에 3순위까지 263가구만 청약해 0.18대 1의 저조한 경쟁률을 나타냈다가 이날 청약통장 없이 접수하는 4순위 모집에서 1대 1을 넘겼다.
지난 5일 경기도 남양주 별내지구에서 분양에 들어간 ‘별내 하우스토리’도 718가구 모집에 1순위에서 126명만 청약해 초반 대거 미달사태를 보인 끝에 3순위에서 평균 1.07대 1을 기록하며 겨우 1대 1을 넘겼다. 별내지구는 지난해 9월 분양에서 평균 경쟁률이 최대 10대 1을 넘는 높은 경쟁률을 보이며 1순위로 마감할 정도로 청약 열기가 뜨거웠던 지역이다. 수도권 분양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말부터 수도권 청약률 및 계약률이 동반 하락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말했다.
가장 큰 이유는 다음달 양도세 감면혜택 종료를 앞두고 건설사들이 밀어내기 분양을 통해 물량을 늘린 영향이 크다. 하지만 현 정부 들어 보금자리주택으로 대표되는 도심 근교 개발과 뉴타운으로 대표되는 도심 재개발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과거 인기를 끌었던 신도시 위주의 공급 정책이 한계에 다다랐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는 2008년 9·19대책과 지난해 8·27대책을 통해 2018년까지 수도권에서 기존 도심에 180만가구, 도시근교 및 외곽에 120만가구를 공급하는 등 모두 300만가구를 공급키로 했다. 특히 2012년까지 도심 내 택지개발과 수도권 개발제한구역 해제 등을 통해 연 10만가구를 조기 공급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서울시도 한강변 초고층 개발, 장기전세주택, 재개발 사업 지원 등의 공급 정책을 잇따라 내놨다.
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장은 “현 정부 들어와 주택 분양은 신도시 중심의 공급 위주에서 도심 및 도심 근교의 수요 위주로 바뀌었다”며 “입지 여건이 훨씬 좋은 보금자리주택 등에 대한 분양이 예정돼 있는 만큼 수도권 외곽에 형성되는 신도시 분양 물량은 구조적으로 미분양이 양산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한편 1년 중 집을 팔기 가장 좋은 달은 2월이고, 구입하기 가장 좋은 달은 12월로 조사됐다. 부동산 1번지는 국민은행 주택가격 자료를 분석한 결과, 12월의 변동률은 -0.05%로 유일하게 하락세를 나타냈고 2월은 0.71%의 변동률을 나타내 상승폭이 가장 컸다고 밝혔다. 또 봄 이사철이 가을 이사철보다 주택 가격 상승률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