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세종시 수정안] “충청권 우롱하나” 반발… “기업 오면 이득” 기대도
입력 2010-01-11 22:02
정부의 11일 세종시 수정안에 대해 대전과 충남지역에서는 “충청권을 우롱하는 처사”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하지만 이 지역 과학기술계와 일부 주민들은 대기업들이 입주하게 되면 어쨌든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세종시 건설계획 수정에 반발, 도지사직을 사퇴했던 이완구 전 충남지사는 충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수정안을 면밀히 검토했으나 원안이 최선의 대안임을 확인했다”며 “세종시 문제는 끝없는 정쟁의 원인이 될 것으로 정치권의 결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유한식 충남 연기군수는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은 행정도시를 백지화하겠다는 것으로, 정부 스스로 국민적 합의를 파기한 결과물”이라고 주장했다.
행정도시원안사수 충청권연대회의도 성명을 내고 “수정안은 충청과 지방 죽이기에 나서겠다는 선전포고”라며 “정부가 ‘세종시 백지화안’을 밀어붙일 경우 사즉생(死卽生)의 각오로 싸워나가겠다”고 극한적인 용어를 써가며 반발했다.
민주당 충남도당도 “9부2처2청 및 35개 기관 이전을 백지화하고, 대기업 유치를 강조하면서 교육과학 중심의 경제도시로 포장한 수정안은 미봉책”이라며 “정권퇴진 운동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선병렬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은 대전역 광장에서 삭발과 함께 무기한 단식에 돌입했다. 충청권연대회의와 행정도시 범공주시민대책위원회 등은 조치원역 광장에서 연기군민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세종시 원안사수 촛불문화제’를 열었다.
그러나 연기군 양화리 주민 임모씨는 “행정도시에 삼성 같은 대기업이 오면 지역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충남지역 재계와 과학기술계에서도 교육과학 중심 도시에 대해 기대감을 표시하기도 했다.
충북지역의 경우 대전·충남과 미묘한 반응의 차이를 보였다. 남상우 청주시장는 “정부가 세종시 수정안을 확정해 발표한 만큼 찬반 논란보다는 지역발전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밝혔다.
정우택 충북지사는 “제 소신대로 수정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면서도 “원안대로 가야 한다는 것을 정부에 강력히 ‘권고’한다”며 표현의 수위를 조절했다.
대전=정재학, 청주=이종구 기자 jh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