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수정안 발표] ‘일주일 여론’이 판가름… 與 “대국민 설득 총력”

입력 2010-01-11 00:19

주사위는 던져졌고, 설득 작업만 남았다. 여권은 11일 세종시 수정안 발표를 계기로 대국민 설득에 전력투구하기로 했다. 특히 수정안 발표 이후 1주일 동안의 여론이 세종시 수정 방향을 결정짓는다는 판단 아래 가능한 방법을 총동원키로 했다.

당·정·청 수뇌부는 10일 저녁 서울 삼청동 총리공관에 모여 수정안 발표 이후 대책을 집중 논의했다. 정운찬 국무총리, 한나라당 정몽준 대표, 정정길 대통령실장 등 여권 수뇌부가 참석했다.

◇설득의 핵심은‘실질적인 효과’=당정청은 세종시 수정안의 ‘효과’를 집중적으로 설득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부처가 이전하는 ‘알맹이 없는 원안’ 대신 수정안이 충청도민과 국가 발전에 유리하다는 점이 설득 포인트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원안에 대한 감정적인 고수보다 훨씬 나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점을 집중적으로 알리기로 했다”고 전했다.

세종시 수정안 작업을 컨트롤해 온 박재완 청와대 국정기획수석은 9일 청와대 정책소식지를 통해 “정부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에 향후 20년간 17조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15년까지 중이온가속기 등 건설 비용이 3조5000억원이고, 나머지 13조5000억원은 2016년부터 2029년까지 연구비 등으로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벨트가 조성되면 매년 연구비만 7000억원 정도가 배정되고, 다른 비용까지 합치면 매년 1조원 정도가 연구단지에 투입된다”며 “실질적인 효과가 크다”고 설명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으로 20년간 235조원의 생산 증대와 212만명의 고용 창출이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청와대는 대통령 기자회견 검토, 정 총리 충청행=청와대는 수정안 발표 이후를 대비하느라 물밑에서 분주했다. 청와대는 수석비서관회의 등을 통해 이명박 대통령의 입장 표명 방식과 대국민 설득 전략을 가다듬었다. 이 대통령은 수정안 발표 이후 이른 시일 내 공식 기자회견을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정 총리는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의 심정으로 정부 수정안 발표문을 최종 점검했다고 총리실 관계자가 전했다. 정 총리는 최근 사석에서 “최선을 다했기 때문에 마음이 편하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총리는 세종시 수정안을 발표하고 대전 지역을 직접 방문해 수정안의 취지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총리실 관계자는 “정 총리가 발표 후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아 지난해 1월 용산 철거민 농성 진압 과정에서 순직한 고(故) 김남훈 경사의 묘역을 참배한 뒤 대전 지역 방송 3사와 공동 대담을 녹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근혜, 제왕적 총재보다 더 해”=한나라당 친이계 주류의 박근혜 전 대표 비판도 수위가 높아졌다. 정두언 의원은 박 전 대표에게 공개질의서를 던지며 “최근 박 전 대표 주변 중진 의원들이 세종시 문제에 대해 나름대로 소신을 피력할 때마다 박 전 대표는 그들의 입장에 쐐기를 박았다, 박 전 대표는 과거 제왕적 총재보다 더하다는 세간의 얘기를 들은 적이 있는가”라고 물었다. 박 전 대표가 2002년 2월 당시 이회창 총재 체제를 ‘제왕적 1인 지배정당’이라고 비판하며 한나라당을 탈당했던 전례를 거론한 것이다. 정 의원은 지난해 7월 미디어법 수정 통과를 예로 들며 “자기가 정한 당론은 지켜야 하고 남이 정한 당론은 안 지켜도 된다는 것으로 해석하면 역린(逆鱗)이 되는가”라고 반문했다.남도영 손병호 하윤해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