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日 징용자 유골 첫 현지조사] 강제징용 노무자 유골 2601위 확인

입력 2010-01-10 20:30

일제 강점기 일본 본토에 끌려가 각종 노무 작업에 동원됐다 사망한 한인 강제징용자 2601명의 유골이 5년에 걸친 현지 조사를 통해 공식 확인됐다.

우리 정부 차원에서 일본 내 징용자 유골 현황을 직접 조사한 것은 처음이다. 일본 당국도 이 과정에 적극 협조해 한·일 공동 조사 수준에서 유골 확인 작업이 이뤄졌다. 이들 유골은 이르면 올 상반기부터 순차적으로 국내에 봉환될 예정이다.

국무총리 산하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위원장 김용봉)는 10일 “정부 조사단이 2005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광복 이후 최초로 일본 본토 실사 작업을 벌여 사찰, 납골당, 지방자치단체 창고 등 일본 전역 310곳에 산재해 있는 강제징용 노무자의 유골 2601위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규명위는 “유골함에 사망자 이름과 본적지 등이 제대로 기재된 경우가 드물어 구체적 신원 파악은 매우 어렵다”며 “지금까지 총 52위의 유골 신원을 확인했고 그 가운데 25위에 대해선 유족까지 확인해 유골 발견 사실을 통보해줬다”고 말했다.

규명위에 따르면 2004년 12월 노무현 대통령과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 간 정상회담에서 한국인 노무동원자 유골 문제가 논의된 이래 양국 정부는 유골 확인 및 봉환 작업을 위한 공식 협의를 물밑에서 긴밀히 진행해 왔다.

우리 정부 측 요구에 따라 일본 정부는 2005년 초부터 일본 각지의 기업, 종교단체, 지자체 등에 한국인 유골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구하는 협조 공문을 발송했다. 그렇게 해서 취합된 실태 자료를 바탕으로 양국 실무조사단이 따로 또는 합동으로 유골 보관 시설에 대한 실지조사 작업을 벌여 유골함 내용물을 직접 확인했다.

유골 봉환은 한·일 강제병합 100주년인 올해 상반기부터 단계적으로 성사될 것으로 보인다. 전체 유골 봉환이 마무리되려면 3∼4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종전에도 징용자 유골이 국내에 들어온 사례가 있기는 하지만 일본 측이 자체적으로 수습해 자국 사찰 등에 보관하고 있던 유골을 전달해준 것에 불과했다. 그나마 정부 간 합의로 공식 봉환된 것은 2008년 1월부터 세 차례에 걸쳐 일본 도쿄의 사찰 유텐지(祐天寺)에 보관하다 들어온 군인·군속 유골 204위가 전부였다.

따라서 이번에 확인된 유골이 국내에 들어오면 정부 차원에서 민간 노무동원자 유골을 봉환한 최초의 사례가 된다.

특별기획팀 김호경 권기석 우성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