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통령 “비상경제대책회의 1년 이젠 민간 기업이 나서야”

입력 2010-01-07 18:32


이명박 대통령이 7일 서울 명동 전국은행연합회관에서 비상경제대책회의 1주년 점검회의를 주재했다.

이 대통령은 요즘 발언의 단골 메뉴인 일자리와 민간투자를 재차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어느 정도 위기가 실마리를 찾고 나면 지금부터는 민간이 해야 할 일”이라며 “아직 민간기업의 본격 투자가 시작되지 못했다. 기업들이 본격적으로 투자하고 일자리를 만들어내고 수요를 창출하는 선순환이 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출구전략에 대해서는 “비상경제체제를 최소한 금년 상반기까지는 유지해야 한다”며 “상반기 캐나다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에서 세계가 함께 출구전략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영세상인과 대기업을 함께 거론하며 “부자도 재래시장 한번 와보고, 재래시장 사람도 부자들을 적대시하면 안 된다”면서 “어떤 분야도 대결 구도가 아니라 협력하는 상생구조가 돼야 우리 사회가 발전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미래를 위해서 기초를 닦고 그 일을 하는 데는 욕을 먹더라도 할 일은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해 소신행보를 강조했다.

비상경제대책회의는 이 대통령이 지난해 1월 2일 신년연설을 통해 ‘비상경제정부’를 선포하면서 만들어졌으며, 거의 매주 열렸다. 이 대통령이 지난해 가장 많이 주재한 회의로 국무회의 주재(27회) 보다 많았다.

청와대와 정부는 비상경제대책회의를 통해 전 세계적인 경제위기를 훌륭히 극복해냈다고 자평했다. 회의 초반 부정적 이미지의 ‘지하 벙커 회의’라는 비판까지 받았으나, 주가 금리 환율 등 금융지표가 호전됐고, 지난해 무역수지는 사상 최대 흑자(410억달러)를 달성했다. 청와대와 정부는 이러한 극복 원인으로 재정조기집행, 노후차 교체 등 세제지원의 과감한 시행, 종소기업 대출 연장 등 신속한 대응 사례를 꼽았다.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는 모두 74건의 안건이 논의됐다. 경제상황 점검(19건) 산업경쟁력 강화(14건) 서민생활안정(13건) 순이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회의에서 올해 경제운용과 관련, “당분간 확장적 재정금융정책 기조를 견지하고 인플레 기대나 부동산 투기 심리를 사전에 차단하는 동시에 가계부채, 단기외채 등 리스크도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일자리의 보고(寶庫)인 서비스산업을 활성화하고 정규직 고용을 유연화하는 것도 과제”라고 말했다. 비상경제대책회의는 당초 지난해 6월 말까지가 시한이었으나, 두 차례 연장을 거쳐 올 6월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회의에는 이 대통령과 당·정·청 고위 관계자들은 물론 중소기업인, 공공기관장, 주한 외국상공인과 서민 등 80여명이 참석했다. 특히 이 대통령이 지난해 비상경제 현장점검회의에서 만났던 서민들과 영세업자들의 애절한 사연이 소개되자, 대통령과 전재희 보건복지가족부 장관 등이 눈물을 닦기도 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