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김정일 방중說 왜 자꾸 나오나… 경제 막다른 골목, 中에 ‘SOS’

입력 2010-01-07 21:05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중국 방문이 임박했다는 관측들이 이어지고 있다.

북한과 중국의 접경 지역에 있는 단둥(丹東)역과 주변 지역에 6일부터 특별 경계가 이어지고 있고, 지난달 15일을 전후로 김 위원장의 방중을 위한 선발대 30여명이 베이징에 도착, 아직까지 잔류하고 있다는 소식도 전해진다.

베이징의 대북 소식통은 7일 “통상 언론에 이 정도 사실이 알려지면 방중 일정이 취소되거나 미뤄지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이번에는 상황이 다르다”면서 “현재 최악의 상황에 몰려있는 북한 경제 회복을 위해 김 위원장의 방중 일정이 조만간 잡힐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북한 내부 사정에 정통한 서울의 소식통 역시 “2월에는 김 위원장의 생일이 있고 3월엔 중국의 전국인민대표대회가 열린다”며 “1월이 (방중의) 최적기”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방중이 북한에 필요한 가장 큰 이유는 무엇보다 중국의 경제적 지원이 절실하기 때문이다. 북한은 신년 공동사설에서도 인민생활 향상을 위해 생필품과 곡물 생산 극대화를 강조한 바 있다.

박병광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연구위원은 “김 위원장으로선 자신의 건강과 후계 문제로 인해 느끼는 압박감이 클 것”이라며 “결국 고장 난 북한 경제를 추스르기 위해서는 중국의 지원에 기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2012년 강성대국 건설을 앞두고 핵 문제가 해결되기 전에 지원을 기대하기 어려운 미국이나 한국보다는 중국 쪽에 적극적으로 손을 벌리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현재 양국은 지난해 10월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북 이후 식량과 원유 원조는 물론 다양한 경제협력 틀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국은 이미 압록강대교 건설과 함께 훈춘∼나선간 도로 확장, 압록강 하구 비단섬 인프라 개발, 평북 철산항 개발 등에 합의했거나 논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홍익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중국엔 저가 공산품이 많아 한국보다 경제 협력의 시너지 효과가 클 수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으로서도 북한에 대한 영향력을 과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김 위원장의 방중은 입맛에 맞는 카드다. 방중이 성사될 경우 김 위원장은 6자회담 복귀 일정을 구체화하면서 의장국인 중국에 힘을 실어줄 가능성이 크다.

김 위원장의 방중은 원 총리 방북 이후 돈독해지고 있는 양국의 혈맹관계를 더욱 부각시키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특히 김 위원장은 6·25전쟁 60주년을 맞아 중국의 ‘항미원조(抗美援朝)’를 기념하는 의미에서 단둥의 항미원조기념탑을 깜짝 방문할 가능성도 있다.

다만 김 위원장의 건강 회복이 충분치 않거나 북·중 간 경제적 지원에 대한 이해 조정이 쉽지 않을 경우 방중은 중국이 6·25에 개입한 시점인 10월쯤으로 미뤄질 가능성도 없지 않다. 장위(姜瑜)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김 위원장 방중과 관련, “현재까지 그런 방면의 정보를 들은 바 없다”고 말했다.

베이징=오종석 특파원 안의근 기자 pr4p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