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내 국군 유해 발굴 한·미 공조 가능성

입력 2010-01-06 21:31

국방부는 조만간 북한에 묻혀 있는 국군유해 발굴을 위해 북측 유해지도 제작에 들어간다. 또 발굴된 유해들의 신원확인을 위한 유가족 유전자 샘플 채취 작업도 확대할 예정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6일 “올해 남북한 군사회담이 열릴 경우 북한 지역에서 남북이 공동으로 유해 발굴 작업을 하자는 제의를 할 예정”이라며 “이를 위해 우선 북측 유해지도 제작부터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이명박 대통령이 신년연설에서 국군유해 공동 발굴 작업 추진을 밝힌 뒤 미국도 2005년에 중단한 발굴 작업 재개 의사를 밝혀 미국과 공동작업을 추진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미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담당국 래리 그리어 공보실장은 5일(현지시간) 자유아시아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중공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던 함경남도 장진호와 평안북도 운산 등 한국전 격전지에 아직도 수천 구의 미군 유해가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며 “올해 북한 내 미군 유해 발굴 작업을 재개하기 위한 논의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자유아시아방송은 또 미국 한국전쟁 실종자 가족협회 프랭크 미터스키 워싱턴 지부장이 최근 전쟁포로와 실종자 유해 발굴에 관한 청문회에서 “김명길 전 유엔 주재 북한 대표부 공사가 ‘북한 내 유해 발굴 사업의 재개는 미국의 결정에 달렸다’고 말했다”고 증언한 바 있다고 보도했다.

군관계자는 “미군 유해 송환과 한국군 유해 송환은 별개 사안이지만 양국군이 같은 지역에 묻혀 있을 가능성도 있고 북한지역에서 먼저 발굴 작업을 해온 미국의 경험을 전수받을 필요는 있다”고 말했다.

국군 유해 발굴 작업을 전담하고 있는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은 올해 국군 유해 1500구 이상을 발굴하고 유가족 유전자 샘플은 5000개 이상 채취할 예정이다. 븲관련기사 3면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