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피 못잡는 美 보안 정책… “관타나모 수감자 예멘 송환” 발표 이틀만에 “중단” 말바꿔
입력 2010-01-06 18:11
성탄절 미국 여객기 테러기도 사건 이후 미국 정부의 보안 관련 정책들이 혼선을 빚고 있다. 이는 쿠바 관타나모 기지에 수용된 예멘 국적 수감자들에 대한 처리 방침에서 고스란히 드러났다.
로버트 기브스 백악관 대변인은 5일(현지시간) “예멘으로의 (수감자) 추가 송환이 좋은 생각이 아니라는 결정이 났다”고 밝혔다. 그는 “관타나모 수용소를 폐쇄하겠다는 우리의 의지는 여전하다”면서도 “더 이상 예멘으로 추가로 보내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존 브레넌 백악관 국토안보보좌관이 지난 3일 CNN방송에 출연해 예멘 국적 수감자 91명에 대해 “송환 절차를 중단하지 않았다”고 밝힌 지 이틀 만이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테러기도 사건의 범인이 예멘에서 알카에다로부터 훈련을 받았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관타나모 수감자들을 예멘으로 송환해서는 안 된다는 압력을 받아왔다. 영국 일간 더타임스는 관타나모에 수감됐다가 본국으로 보낸 사람 중 최소한 12명이 예멘으로 갔다고 보도했다.
미국이 테러 우려가 높은 14개 국가의 항공기 승객에 대해 전원촉수검색 조치를 내렸지만 전 세계 공항 검색에서는 달라진 게 없었다고 AP통신이 지적했다. 레바논 등 14개국 공항에서는 미국으로 향하는 국제선에도 촉수검색이 이뤄지지 않았다. 독일 프랑스 스페인 등은 검색 강화를 논의하는 단계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4일 항공기 탑승객에 대한 ‘전신스캔’이 현행 어린이 보호법에 위배되는 등 법적 논란이 있다고 보도했다. 영국 교통부 등 관련 부처는 18세 미만 아동을 검색 대상에서 제외하거나 유명 인사들의 알몸 사진이 인터넷에 오르지 않게 하는 방안 등을 검토 중이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