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내 국군 유해 발굴] 유해발굴 지도 제작→현장 답사→작업 순서로 진행

입력 2010-01-06 21:35


올해 남북군사회담이 열릴 경우 주요 의제는 북한에 묻힌 국군유해 발굴 작업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명박 대통령이 4일 신년 국정연설에서 “북한에 묻혀 있는 국군용사들의 유해 발굴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데 이어 국방부도 후속 조치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북측이 우리 측 제안을 받아들여 공동 발굴 작업이 시작된다면 우선 유해가 묻혀 있을 곳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 수집부터 이뤄져야 한다. 국방부 전사편찬연구소가 북한에서 발생한 전투 기록과 자료, 당시 북한에 거주했던 주민 및 참전자들의 증언을 토대로 유해가 묻혀 있을 개연성이 있는 지역을 선정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북측 군사전문가나 주민들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유해 발굴 지도 제작이 완료되면 현장 답사가 뒤따른다. 전투 현장을 확인하고 토양 등 주변 정황도 분석해야 한다. 유해 발굴 전문가들은 6일 “현장에 가보면 증언이나 자료와 다른 경우가 많다”며 “북한은 급속한 개발이 이뤄진 남한과 달리 현장 보존이 잘돼 있을 수 있지만 생존자들이 많지 않을 가능성이 커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신원 확인을 위해 유족들의 유전자 샘플 채취도 이뤄져야 한다. 남측에서 전사자 유해 발굴을 하고 있는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이 확보한 유전자 샘플은 1만271개. 감식단은 올해 5000개의 샘플을 더 채취하는 등 꾸준히 유전자 샘플을 축적해나갈 계획이다.

이처럼 기초조사가 끝나면 본격적인 발굴이 가능하다. 2000년부터 발굴 작업을 해온 우리 측 경험이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방부는 당초 3년간 한시 작업으로 시작한 유해 발굴 작업을 2005년 영구 사업으로 확정하고, 전문부대인 유해발굴감식단을 창설했다. 유해 발굴만 전담하는 부대로는 미국에 이어 두 번째다. 2009년에는 전문감식실과 유해보존실 등을 갖춘 신청사를 개관했다. 디지털 X선 촬영기, 유실된 유해를 복원할 수 있는 3차원 스캐너와 광학현미경 등을 갖춘 중앙감식소를 마련해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감식이 가능해졌다.

5개 과, 9개 팀으로 구성된 감식단에는 법의학전문가, 형질인류학자 등 전문가들을 포함한 179명의 요원들이 포진해 있다. 지난해 8월 미 합동전쟁포로·실종자 확인사령부(JPAC) 전문가들과 연 2∼3회씩 공동감식 작업을 하기로 합의했다. 감식단은 현재까지 국내에서 4133구를 발굴했으며 이 가운데 85명의 신원이 확인됐고 55명은 유전자 감식 등을 통해 유가족도 찾았다.

이와 함께 감식단이 발굴한 북한군 유해를 송환하는 작업도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북한군으로 분류된 유해는 485구로 우리 측이 매년 유엔군을 통해 북측에 송환을 요청했지만 응답이 없어 경기도 파주 적군묘지에 묻혀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2007년 남북국방장관회담 당시 유해 발굴 공동작업을 위한 대책을 마련키로 합의한 바 있다”며 “지금 북한이 동의만 한다면 빠른 시간 내에 공동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