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기상재난 대응능력 키워야

입력 2010-01-04 17:30

새해 첫 근무일에 내린 폭설의 충격파가 컸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많은 사람들이 고생했다. 지하철은 아비규환을 이뤘고 버스는 언덕길을 오르지 못해 대중교통의 기능을 상실했다. 이로 인해 각 회사의 시무식이 미뤄지고 물류가 마비되는 등 피해가 속출했다. 서울 지역의 경우 100년 만의 기록이라고 한다. 이 같은 재난은 불가항력적인 측면이 있다. 새벽녘에 기습적으로 내린 데다 강설량이 많아 제설작업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치우면 쌓이니 도리가 없는 것이다. 대중교통의 수용능력도 뻔하다.

그렇더라도 천재지변에 대한 대응이 적절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먼저 도마에 오르는 것이 예보의 정확성이다. 기상청은 3일 오후 예보를 통해 4일 서울에 2∼7㎝ 정도의 눈이 내리겠다고 전망했으나 실제로는 가공할 폭설이 쏟아졌다. 강설은 맞혔으나 강설량에서 한참 빗나간 것이다. 지역맞춤형 예보를 한다는 둥 호들갑을 떨어도 중요한 시기에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대도시 지역의 예보가 어긋나면 예보의 효용성 자체가 의심받는다.

당국도 할 말이 없게 됐다. 서울시는 최선을 다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주요 간선도로의 제설에도 실패했다. 지난달 27일 2.6㎝의 눈으로 서울 교통이 몸살을 앓은 이후 오세훈 시장이 대책 마련을 장담했으나 일주일 만에 다시 속수무책으로 당했다. 또 하나 지적할 것이 재난방송이다. 기상청에서 오전 5시30분에 대설주의보를 발령했고 출근길 대란이 예상되는데도 긴급편성을 않는 등 안이한 모습을 보였다.

앞으로 이상이변으로 인한 재난은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것이다. 우리나라만이 아닌 지구촌에 부여된 과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지구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재난에 대응하는 능력을 키우는 데 주력해야 한다. 기동력 있는 동원체계를 마련하고, 모바일을 이용해 경보를 발령하는 등 디지털 시대에 걸맞은 매뉴얼도 필요하다. 자연재해는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그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은 인간의 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