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2010 의장국 국운 가른다] 유엔 '北 인권' 주시… 비팃 문타폰 특별 보고관 1월 10일 訪韓
입력 2010-01-03 18:28
북한 인권문제가 연초부터 국제사회의 주요 이슈로 급부상했다.
태국 출신의 비팃 문타폰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이 오는 10일 방한할 것으로 3일 알려졌다. 문타폰 특별보고관은 16일까지 한국에 머물며 탈북자 정착기관인 하나원에서 탈북자를 인터뷰하고 외교통상부와 통일부, 비정부기구(NGO) 관계자들과 면담할 예정이다. 그가 방한 중 수집한 자료는 유엔 인권이사회와 유엔총회에 보고되는 ‘북한 인권보고서’의 토대가 된다.
문타폰 특별보고관은 유엔이 2005년 이후 5년 연속으로 북한 인권결의안을 채택하고, 지난달 열린 보편적 정례검토(UPR) 회의에서 무려 167개의 대북권고안을 쏟아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울러 문타폰 특별보고관의 방한 일정은 로버트 킹 미국 국무부 대북인권특사의 한국 방문과 겹친다. 킹 특사는 11일 관련국 순방차 한국에 입국한다. 킹 특사는 탈북자의 미국 망명길을 연 2004년 북한인권법을 주도했던 인물로 지난해 11월 의회 비준 절차를 마치고 본격 활동에 들어간 상태다.
유엔과 미국의 대북 인권 담당자들이 동시에 방한하면서 북핵 등 현안에 가려 있던 북한 인권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아졌다. 특히 인권 개선을 촉구하며 지난달 25일 자진 입북해 억류된 한국계 미국인 로버트 박(한국명 박동훈) 사건과 맞물려 북한 인권 개선을 요구하는 국제사회의 압박은 강도를 더해갈 전망이다.
북한은 자신들의 인권문제를 건드리는 데 극도로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여 왔다. 따라서 인권문제의 전면 부상이 오는 2월 말로 조심스럽게 예측돼 온 북핵 6자회담 재개에 어떤 영향 미칠지도 관심이다.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미국이 지난해 말 북한과의 양자 및 6자회담 재개에 의지를 보였고, 따라서 인권문제를 전면에 등장시키지 않을 것”이라며 “북한도 표면적으로는 거칠게 반발하겠지만 대화 틀은 깨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도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