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니 블레어(72·사진) 전 영국 총리가 중동 지역 주요 인사들과 쌓아온 인맥을 바탕으로 가자지구 재건에 핵심 역할을 맡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뉴욕타임스(NYT)는 블레어 전 총리가 주장해온 ‘가자지구 국제 과도 기구’(GITA)가 세워질 경우 그가 수장으로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레어는 유엔이 위임하는 행정기구 성격의 GITA 설립을 주장해 왔다. 다국적 치안유지군의 지원을 받아 가자지구를 안정화하자는 구상이다.
블레어는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가자지구 평화 구상을 내놓자 이를 “대담하다”고 평가하며 지지 의사를 공개적으로 표명했다. 그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이 “2년간 이어진 전쟁, 참상, 고통을 끝낼 수 있는 확률이 가장 큰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영국 일간 더타임스는 블레어가 수개월간 준비해 올여름 트럼프에게 제출한 가자 평화·재건 계획이 트럼프의 승인을 받은 것이라고 전했다.

1997~2007년 영국 총리를 지낸 블레어는 퇴임 직후 유엔·미국·유럽연합(EU)·러시아로 구성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 과정 협의체 ‘쿼텟’의 특사로 활동했으나 성과는 제한적이었다. 특히 총리 재임 시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이라크 침공을 지지한 전력과 이스라엘과의 돈독한 관계 때문에 팔레스타인 내에선 그에 대한 불신이 컸다.
더타임스도 “그가 특사로 재임하는 동안 ‘두 국가 해법’에 입각해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가 독립국가로 자립할 수 있도록 정치·경제적 기관들을 만들도록 도와줬어야 했는데 실패했다”고 평가했다.
블레어는 쿼텟 특사 자리에서 물러나고 2016년에 차린 싱크탱크 ‘글로벌 변화를 위한 토니 블레어 연구소’를 통해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바레인 등 아랍 지도자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페르시아만 지역의 부유한 브로커들과도 친분이 깊다. 이런 관계 덕분에 가자지구 재건을 위한 기관이 설립될 경우 그 책임자로 적합한 인물로 떠올랐다.
조승현 기자 chosh@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