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사진) 대통령이 엿새 뒤부터 일본, 미국과 연달아 정상회담을 갖고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 본선에 나선다. 이 대통령은 일본에서는 과거사 문제와 경제·안보 협력 문제를 동시에 풀어야 하고, 미국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내놓을 ‘안보청구서’를 방어하며 관세협상 세부 논의를 이끌어야 하는 복합 과제를 안고 있다.
전은수 대통령실 부대변인은 “대통령실은 다음 주 국정과제 후속 조치와 해외순방을 준비하는 데 집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경제단체 및 기업인 간담회를 개최해 대미 관세협상 과정에서 보인 기업의 다각적 지원에 사의를 표할 예정이다. 또 대미 투자·구매계획 및 애로사항도 청취한다. 3500억 달러 규모로 조성될 대미 투자펀드에 기업의 대규모 투자가 불가피한 만큼 한·미 정상회담에 앞서 재계 달래기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경제·외교 분야에 대한 대국민 홍보도 강화하는 분위기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과 김용범 정책실장,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등 대통령실 ‘3실장’이 각각 기자간담회를 이번 주 진행하겠다고 예고했다. 정부 차원에서도 경제 성장 전략에 대한 관계 장관 회의와 합동 브리핑을 개최한다.
이 대통령은 오는 23일 일본을 방문해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한다. 트럼프 대통령과 만남에 앞서 일본과의 협력을 강화해 중국 견제를 위한 한·미·일 공조 강화 메시지를 던지겠다는 의도가 읽힌다. 미국의 관세협상에 맞서 양국 간 경제 협력 수준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논의를 시작한다. 그러나 과거사 문제와 일본산 수산물 수입제한 철폐 논의도 논의 테이블에 오를 예정이어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은 훨씬 복잡한 고차방정식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등을 골자로 한 ‘동맹 현대화’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익을 극대화하고 한반도 안보 안정성도 유지할 합의점을 도출해 내느냐가 관건이다. 미 주요 당국자들이 공개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주한미군의 규모와 역할 변화 필요성을 방어하고, 미완성 상태인 관세협상 후속 논의도 마무리 지어야 한다. 양국 간 서로 다른 발표가 있었던 농산물 시장 개방 관련 입장조율도 불가피하다.
이 대통령은 내달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총회에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 올해 유엔안전보장이사회 의장국이기도 하다. 현재 주미대사뿐만 아니라 주유엔대사도 공석인 상황이라 임명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승욱 최예슬 기자 applesu@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