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마당] 스테이블코인

Է:2025-05-14 00:40
ϱ
ũ

정승훈 논설위원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은 가격 변동이 심한 일반 암호화폐와 달리 달러 등 기존 화폐에 대응해 ‘1달러=1코인’과 같은 고정 가치로 발행되는 암호화폐를 말한다. 오프라인의 백화점 상품권처럼 돈을 맡기고 같은 가치를 갖는 암호화폐를 받는다고 보면 된다. ‘테더’라고 불리는 USDT가 시초인데 가장 시장 점유율이 높다. 암호화폐 거래 시 매개체 역할도 하는데 국내 거래소에 상장되지 않은 암호화폐를 구매할 때는 대부분 테더를 먼저 산 뒤 해외 거래소에서 테더로 해당 암호화폐를 구입하게 된다. 해외로 여행갈 때 원화를 달러로 바꾼 뒤 그 나라에 가서 현지 화폐로 바꾸는 과정에서 달러의 역할을 테더가 하는 셈이다. 테더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는 USD코인(USDC)은 미국 기업이 발행한 것으로 투명성이 높아 기관투자자들이 선호한다. 테더 발행사인 비트파이낸스 본사가 홍콩에 있는 것과 비교할 때 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하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시장 점유율이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오늘날 스테이블코인은 암호화폐의 한 종류가 아니라 디지털 금융 인프라의 핵심으로 자리잡는 추세다. 게다가 트럼프 행정부는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를 강화하기 위해 스테이블코인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통화 정책 측면에서도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이 확산되면 미국 외 국가에선 환율 상승, 외국인 투자 유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최근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만들어놔야 소외되지 않고 국부 유출도 막을 수 있다”고 언급한 이유다. 한국은행도 “스테이블코인 인가 단계에서 중앙은행에 권한이 부여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는데 문제는 적절한 규제다.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보다 사용하기 불편하고 규제 일변도라고 시장이 느낀다면 활성화는 불가능하다. 실수요자들이 편하게 사용하면서 정책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

정승훈 논설위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