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국민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 이념을 계승하고….’
우리나라 헌법은 이렇게 시작한다. 학생과 시민들이 부정부패가 만연한 독재 정권을 무너뜨린 역사적 사건을 정통성의 근거로 삼았다. 1960년 봄 시위에 앞장선 20세 안팎의 학생들이 바로 4·19세대다. 4·19혁명은 5·16 군사 쿠데타로 1년 만에 ‘미완의 혁명’이 됐지만 4·19세대는 무능하고 부패한 기성세대를 빠르게 대체했다.
4·19세대의 활약은 정치권에서 두드러졌다. 대표 주자는 고려대 상대 학생회장으로 시위대 앞에서 결의문을 낭독한 이기택 전 민주당 총재였다. 그는 30세이던 1967년 신민당 전국구 의원으로 국회의원이 된 뒤 세대교체를 이끌었고, 2016년 작고할 때까지 4·19세대의 구심점으로 활약했다. 이후 김대중 전 대통령(DJ)이 창당한 평화민주당에서 출발한 유인학·신기하·박실 전 의원, 김영삼 전 대통령(YS)이 이끈 통일민주당 계열의 김광일·박찬종 전 의원 등 4·19세대는 현역의원만 30명 넘게 배출했다. 서울대 총학생회장이었던 이우재 전 민중당 대표처럼 뒤늦게 현실 정치에 뛰어들었거나, 끝까지 재야에 남은 인물도 적지 않았다. 이들은 1964년 한·일 국교정상화 반대 시위를 이끌었던 6·3세대와 함께 YS·DJ 시대 한국 정치의 흐름을 주도하고 권력을 대표한 큰 줄기였던 것이다.
그러나 1990년대까지 쟁쟁했던 4·19세대도 2000년을 전후해 은퇴할 수밖에 없었다. 16대 총선 당시 ‘바꿔, 바꿔’ 열풍에 본선에 나가지도 못하고 당내 공천에서 맥없이 무너진 경우도 많았다. 그리고 4년 뒤 17대 총선에서 유용태 민주당 의원이 낙선하면서 4·19세대는 정치 무대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20여년 전 세대교체를 외치며 4·19세대를 밀어낸 세력이 바로 386세대다. 올해는 벌써 4·19혁명 62주년, 6월 항쟁 35주년이다. 도도한 장강의 물을 밀어낼 미래의 세력은 누구일지 궁금하다.
고승욱 논설위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