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신종 코로나) 여파가 장기화하면서 소상공인들이 입는 피해도 누적되고 있다. 신종 코로나 사태를 염려한 시민들이 모임과 행사를 취소하는 바람에 소상공인 대부분이 매출 하락을 체감하는 중이다. 확진자 이동 경로의 매장 영업을 중단하는 등의 과잉대응도 소상공인 영업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소상공인 1092명을 대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소상공인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고 11일 밝혔다.
연합회가 조사대상 소상공인들에게 신종 코로나 사태 이후 사업장 매출액 변화를 물었더니 응답자의 67.1%(733명)가 ‘매우 감소했다’고 대답했다. ‘감소했다’는 응답도 30.8%(336명)였다. 전체의 97.9%가 신종 코로나 영향으로 매출이 하락했다고 응답한 셈이다.
매출 감소 폭도 대체로 컸다. 응답자의 44%(480명)는 매출이 50% 이상 줄었다고 응답했다. 30~50% 줄었다는 응답도 27.2%(296명)에 달했다. 잘 모르겠다(22%), 15~30% 감소(21.6%), 0~15% 감소(5.2%)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소상공인들이 영업에 어려움을 겪는 가장 큰 이유는 신종 코로나 사태 이후 모임 자체가 줄어든 데 있었다. 응답자 61.4%(667명)가 각종 모임 및 행사, 여행 등 무기한 연기·취소로 피해가 발생했다고 답했다. 신종 코로나 확진자 이동 경로로 지목돼 유동인구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다는 응답도 22.5%(245명)에 달했다.
확진자가 다녀간 지역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대규모 영업중단 사태와 방역활동 등 과잉대응 탓에 소상공인들이 영업에 더 어려움을 겪는다는 지적도 나왔다. 대한예방의학회와 한국역학회는 공동성명을 발표해 “확진자가 다녀간 지역 인근의 학교·상점이 문을 닫는 것은 공중보건 측면에서 효과가 없고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만 소모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필요한 지원정책으로 응답자 절반(51.8%)이 소상공인 경영안정자금 예산 조기 집행을 꼽았다. 중소벤처기업부는 곧 신종 코로나 사태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에게 경영안정자금 200억원과 1000억원대 특례보증을 지원할 예정이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도 이날 충남 아산 온양온천시장을 찾아 “피해가 예상되는 음식·숙박, 생활밀착형 소매업, 관광업 등에 종사하는 소상공인들의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자금 융자, 특례보증 등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