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부터 패스트트랙까지… 與 초선들 소신과 당론 사이

Է:2020-01-01 04:02
ϱ
ũ

금태섭 공수처법 기권표 던져… 끝까지 당론 아닌 소신 지켜

사진=최종학 선임기자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태부터 연말까지 이어진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정국 속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일부 초선 의원들의 소신 발언도 여론의 관심을 끌었다. 당론과 개인의 정치적 소신 사이에서 고민하며 자기 목소리를 낸 초선 의원의 존재가 폐쇄적이지 않은 당의 면모를 보여주는 데 일조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민주당 초선인 금태섭(사진) 의원은 지난 30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법에 관한 국회 본회의 표결에서 기권표를 던졌다. 앞서 이해찬 대표가 공수처법에 반대하는 금 의원, 조응천 의원과 직접 식사 자리를 마련해 막판까지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춘숙 원내대변인은 31일 “(금 의원에 대한) 당 지도부 차원의 조치는 아직 이야기된 것은 없다”고 했다. 오는 3일 확대간부회의에서 관련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전날 본회의가 끝난 뒤 금 의원은 “나중에 말씀드리겠다”며 회의장을 떠났다. 금 의원은 국회에 입성한 2016년부터 일관되게 공수처 설치에 반대해 왔다. 공수처는 세계적으로 전례가 없으며, 새로운 권력기관이 돼 권한을 악용할 수 있다는 등의 이유에서다. 금 의원은 끝내 당론이 아닌 소신을 택했다.

금 의원과 마찬가지로 초선에다 공수처 반대파인 조 의원은 본회의에서 찬성표를 던졌다. 그는 페이스북 글을 통해 “무거운 마음으로 공수처법에 찬성표를 던졌다”며 “찬성을 한 것은 당론이었기 때문이며, 무거운 마음은 찬성한 법안의 내용이 제 생각과 달랐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당인으로서 당론에 따르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조 전 장관 사태 때도 초선 의원들의 소신 발언이 주목받았다. 조 전 장관을 방어하는 대신 비판하며 진심 어린 사과를 요구했던 금 의원과 박용진, 김해영 의원은 ‘금박김’으로 묶여 불렸다.

초선 의원이 당론에 반기를 들기란 쉽지 않다. 지도부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고, 총선 경선 때 투표권을 쥔 권리당원도 의식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당 지지층은 당론과 어긋나게 행동하는 초선 의원들을 향해 불만을 쏟아내기 일쑤다.

하지만 다양한 의견 표출이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김만흠 한국정치아카데미 원장은 “우리 정치는 당이 원하는 바를 정치인에게 요구하는 경향이 높다. 최근 민주당도 격한 여야 대치 정국 속에서 이견을 드러내기 어려운 분위기가 됐다”며 “모든 사안에서 당론과 정치인 개인의 소신이 일치할 수 없다. 당론에 휘둘리지 않고 소신껏 말할 수 있어야 건강한 정당이라는 걸 증명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