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학사 운영의 틀을 깨고 학생에게 진로 설계와 전공 선택권의 주도권을 보장하는 ‘B․E․S․T’ 학사 체계 등을 전국 최초로 선보이며, 차별화된 자율 교육 모델을 확립했다. 또한 2026학년도부터는 첨단에너지대학 신설을 통해 국가와 지역이 필요로 하는 미래산업 인재 양성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이와 같은 혁신 성과는 최근 국립대학육성사업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등급을 획득하여 지원금 103억원을 확보했으며, 2026학년도 수시모집에서도 경쟁률이 지난해 대비 0.72명이 늘어난 4.09대 1로 나타나 전북권 최고의 상승률과 취업률에서도 전국 국가중심대학 중 3위를 차지했다. 이처럼 국립군산대는 ‘입학보다 졸업이 더 빛나는’ 대학을 향해 힘차게 도약하고 있다.

- 열린 기회의 장 ‘B․E․S․T’ 학사 체계…전과생 163% 증가
국립군산대학교는 학생들이 대학 안에서 자신의 적성·관심·진로에 맞는 전공을 자유롭게 탐색할 수 있도록 ‘B․E․S․T 학사 체계’를 완성했다. 이는 Boundless(소속 경계 없는 교육), Extendable(졸업 시기 유연 선택), Shiftable(전과 자율화), Thresholdless(학과 선택 시 정원 제한 없음)을 뜻하는 것으로, 이중 전국 최초로 도입된 ‘3무(無) 전과제도’는 학생들의 권리 보장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3무(無) 전과제도는 ‘학년 무제한, 학과 무제한(간호학부 제외), 횟수 무제한’이라는 파격적인 제도를 통해 재학 중 언제든 원하는 학과로 이동할 수 있어 학생 주도 전공 선택권이 완전히 보장된다. 무제한 전과 인원은 2025년 200명으로 지난 2022년 76명에서 163% 증가했으며, 전과 이후 학생들의 학업 성적도 평균 10점 상승과 96% 만족도라는 수치로 나타났다. 이러한 객관적 수치는 단순히 ‘선택권 확대’에 그치지 않고, 학업 동기 부여 및 성취 향상으로 이어졌음을 입증하고 있다.
- 전국 최초 모듈형 학위 설계 ‘MCD’ 도입…346명 참여
국립군산대는 전국 최초로 2024학년도부터 MCD(모듈형 컨버전스 학사학위과정·Modular Convergence Degree) 을 운영 중이다. 학생이 스스로 전공 모듈을 조합해 학위를 설계할 수 있는 제도로, 최소 36학점부터 최대 72학점까지 맞춤형 학위 취득이 가능하다. 기존 단일 전공 체계의 한계를 넘어선 전국 최초 시도로서 교육부 및 타 대학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2025학년도 2학기 기준으로 29개 과정 346명의 학생이 참여하고 있으며, 만족도 조사 결과 5점 만점에 평균 4.23점을 기록했다. 특히 SW 개발·AI·로봇, 상담심리, 환경·에너지 분야가 학생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으며, 대학은 이 수요를 반영해 신설 MCD를 추가하고 있다. 또한 ‘전공진로 가이던스센터’를 통해 학위 설계가 단순한 학업 선택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 진로·취업 역량 확대와 연계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도 마련했다.
- 미래산업 중심 허브, 첨단·에너지대학 신설
국립군산대는 2026학년도에 첨단에너지대학을 신설하며 지역과 국가의 미래 산업 수요에 대응한다. 신설 대학에는 이차전지·에너지학부, 스마트오션모빌리티공학과, 바이오헬스학과, 스마트시티학과로 구성됐다. 이들 학부(과)는 1학년 통합 모집으로 운영되며, 학생들은 학업 경험 후 전공을 선택할 수 있다. 첨단에너지대학은 새만금 특화단지, 해상풍력 단지, 바이오 특구,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등 지역 전략산업과 긴밀히 연계해 실질적 현장 투입 인재를 육성하게 된다.

- 국립대학육성사업 교육혁신 S등급 달성, AI 혁신 거버넌스 구축도
국립군산대는 2025년 교육부 주관 국립대학육성사업 교육혁신 성과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등급을 획득했다. 또한 자체성과관리 부문에서도 A등급을 받았다. MCD, 3무(無) 전과제도 등 교육혁신 성과가 높이 평가됐으며, 이를 통해 총 103억 원 사업비도 확보했다. 앞으로도 SW개발 전문가 과정, 데이터분석과 인공지능, 스마트생애주기관리학, 시스템농생명바이오전공, 친환경 선박 등 다양한 MCD 과정을 개발하고 융합 전공 도입으로 미래 산업에 대응할 방침이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국립대학 AI 혁신 거버넌스 구축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KAMS(KSNU Agile Matching System·국립군산대 신속 연계 시스템)의 고도화 전략을 바탕으로 IR 시스템을 구축해 데이터 기반 성과 관리, AI 기반 예측 모델, 대학 DX(디지털 전환)·AX(AI 전환)를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있다.
- ‘입학보다 졸업이 빛나는 대학’…수시모집 경쟁률·취업률 상승
이처럼 국립군산대의 교육혁신 정책이 자리를 잡아가면서 2026학년도 수시모집 경쟁률이 전체 4.09대 1로 상승하는 등 눈에 보이는 수치로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대비 0.72명이 늘어난 것으로, 전북 지역 대학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또한 학생들의 학업 만족도 등이 높아지면서 취업 성과로도 이어지고 있다. 현대자동차, 삼성중공업, 한국전력기술(주) 등 국내 대기업은 물론 교사·공무원 임용,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GIST 등 주요 연구기관 진출 사례가 이를 증명한다.
대학정보공시에 따르면 국립군산대의 2024년 취업률은 60.2%로 국립 7개 국가중심대학 중 3위를 기록했다. 이는 체계적인 교육혁신과 맞춤형 취업 지원 전략이 성과로 이어졌음을 방증한다.
국립군산대는 앞으로도 입학부터 졸업까지 학생들과의 긴밀한 소통을 바탕으로 급변하는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과 융합적 사고를 갖춘 미래형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할 계획이다.
국립군산대 엄기욱 총장 직무대리는 “국립군산대는 학생의 자율권을 보장하는 선도적인 교육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미래형 학사 체계를 다른 대학들이 벤치마킹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발전시켜 왔다”라며, “앞으로도 지역사회 및 산업체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입학보다 졸업이 빛나는 대학’이라는 비전을 실현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혁신 대학으로 성장해 나가겠다”라고 강조했다.
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