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때 서구권 대학생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외국어였던 중국어가 빠르게 외면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K팝을 앞세운 한류 열풍 속에 한국어가 새로운 ‘주류 언어’로 자리잡는 분위기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1일(현지시간) 미국현대언어협회(MLA) 보고서를 인용해 2013년부터 2021년까지 미국 대학의 외국어 수업 현황을 분석한 결과 한국어 수업을 듣는 학생 수가 57% 급증했다고 보도했다.
클레이턴 두브 전 서던캘리포니아대(USC) 미중연구소 소장은 SCMP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가장 핫한 동아시아 언어는 한국어이며 이를 주도하는 것은 100% 케이팝”이라고 말했다.
반면 같은 기간 미국 대학에서 중국어를 수강한 학생 수는 2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 등 다른 국가에서도 중국어에 대한 관심은 확연히 줄고 있다. 영국 고등교육통계청(HESA)에 따르면 2023년 중국어를 공부하는 영국 대학생 수는 정점을 찍었던 2016년보다 35% 감소했다.
독일과 프랑스에서는 중국어 수요가 일부 증가하긴 했지만, 스페인어나 기타 유럽 언어에 비해서는 성장세가 미미한 수준에 그쳤다. 독일의 경우 대학 입학 전 중국어 학습 프로그램 참가자 수는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약 700명가량 늘었지만 같은 기간 스페인어 학습자는 3만명 이상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변화의 배경으로 중국의 폐쇄적인 정책, 경제 성장 둔화, 서방과의 외교 마찰, 그리고 낮아진 국가 이미지 등을 꼽는다.
독일 싱크탱크 메르카토르 중국연구소(MERIC)의 클라우스 쑹 연구원은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의 엄격한 봉쇄 조치와 장기적인 국경 폐쇄 등이 큰 영향을 미쳤다”며 “현재 중국의 국제적 이미지는 그다지 긍정적이지 않다”고 지적했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