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은 새로운 박정희가 필요합니다. 1960년대가 중화학공업으로 나라의 뼈대를 만들었다면 이제는 AI와 데이터, 문화와 에너지로 국민의 삶을 바꾸어야 합니다. 국민과 함께 열어가겠습니다”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경제를 살리고 민생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국민소득 10만 불 시대’를 목표로 강력한 국가 혁신 전략인 ‘새로운 박정희, 10만 불 시대로’를 공식 발표했다.
이 지사는 “이제는 성장률 2% 시대가 아니라 상상력과 실행력으로 국가의 구조 자체를 바꿔야 할 때”라며 △국토 대전환 △한류 대전환 △민생 대전환 △미래 대전환 △체제 대전환이라는 ‘5대 대전환 프로젝트’를 통해 새로운 60년 초일류 대한민국의 길을 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①국토 대전환=“지금의 수도권 일극 체제를 바꾸지 않으면, 대한민국은 다시 뛰지 못합니다”
국토 전체를 효율적으로 설계하겠다는 ‘국토 대전환 프로젝트’는 이철우 구상의 첫 출발점이다. 수도권 집중 해소를 위해 500만 인구 규모의 지역 경제권을 육성하고, 국토 전역에 ‘기본도로’와 ‘기본전철’을 건설하겠다는 공약은 과거 경부고속도로가 그랬던 것처럼 국가 경쟁력을 가속할 인프라 투자로 평가된다.
또 산림면적 63%에 달하는 산지를 경제림으로 전환하고 ‘산에서 기회를 찾겠다’는 접근을 통해 야산 정비, 임도 설치, ‘숲 고속도로’ 등 산림경제를 전략산업으로 탈바꿈시키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②한류 대전환=“한류는 감성 산업입니다. 감동이 곧 수출이고 문화가 곧 외교입니다”
K-컬처에 머물지 않고 K-라이프스타일을 수출하겠다는 이 지사의 ‘한류 대전환’ 프로젝트도 눈에 띈다.
전통문화 5K(한복·한식·한옥·한글·한지)를 콘텐츠화해 해외에 한식당 5만개 개소를 목표로 청년 셰프와 우리 농산물의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특히 한글 기반의 AI 산업 육성과 웹툰, 웹소설 같은 한글 콘텐츠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전략은 기술과 문화의 융합모델로 발표와 함께 주목받기 시작했다.
③민생 대전환=“잘 사는 게 문제가 아니라 살아남는 게 문제입니다. 이젠 ‘죽사니즘’을 끝내야 합니다”
이 지사는 “민생경제 전략은 절박함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매년 90만개 이상 문을 닫는 자영업자들의 눈물, 빚에 허덕이는 청년과 중산층의 현실을 외면하지 않고 ‘기회를 주는 국가’로 방향을 바꾸겠다고 밝혔다.
이 지사는 철저히 현장을 통해 체득한 민생 철학을 기반으로 ‘국민재도전위원회’를 설치하고 프리랜서와 실직자 대상의 ‘국민공제제도’, 창업 준비자를 위한 ‘창의 휴직·창의 수당’, 학비와 생활비까지 지원하는 ‘국민장학제도’, 전 국민 대상의 ‘국민배움카드’ 등 민생 안전망 구축 계획을 제시했다.
④미래 대전환=“디지털과 에너지가 대한민국의 새로운 쌀입니다. 기술로 희망을, 인구로 미래를 바꾸겠습니다”
‘디지털-에너지 코리아 이니셔티브’는 이 지사의 핵심 공약으로 꼽힌다. AI 반도체, 생성형 AI, 로봇, 배터리, 메타버스, 양자컴퓨팅 등 6대 전략기술에 공공과 민간 펀드 500조원을 투자하고 SMR(소형모듈원자로)·청정수소 분야에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지사는 초저출산 해소를 위한 ‘저출생과 전쟁’, 지방 기업 유치를 위한 ‘산업혁신 전문회사 도입’, 사교육비 상한제, 과학기술인 우대 정책 등을 발표했다.
⑤체제 대전환=“이제는 개헌이 답입니다. 정치가 국민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국민이 정치를 지배해야 합니다”
이 지사가 제시한 분권형 4년 중임제, 양원제 국회, 지역 대표 강화, 지방정부 재정 권한 강화, 한⋅미⋅일 안보 동맹, 국가전략원 창설, 정보특별법원 도입 등은 ‘제7공화국’으로 명명된 체제 대개혁 청사진의 골격이다.
또 ‘국민정책위원회’를 출범시켜 국민과 함께 실질적 정책을 만들고 ‘현장형 대통령’으로 거듭나는 한편, ‘국민 속의 리더십’을 실천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지사는 “‘이철우의 약속 : 10만 불 시대로’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삶의 질과 미래의 안정, 국가의 품격까지 높아지는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는 약속”이라고 강조하고 “1960년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중화학공업으로 산업화의 길을 열었다면 AI·디지털·한류를 통해 21세기 국가 개조의 미래를 설계하겠다”고 강한 의지를 밝혔다.
이 지사 선거사무소 관계자는 “국정원에서 안보를, 국회에서 정책을, 도지사로 현장을 책임졌던 지사는 말이 아닌 실행, 슬로건이 아닌 시스템으로 새로운 시대의 국가 모델을 완성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