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도가 7대 전략사업과 21개 실행과제 추진을 목표로 ‘경북형 에너지 대전환’을 본격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경북은 전력 자립률 215.6%로 17개 지자체 중 1위이며 발전량은 94.7TWh로 전국의 16.1%, 발전설비용량은 전국의 12%에 해당하는 17.3GW를 차지하고 있다.
이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추진되는 경북형 에너지 대전환의 7대 전략사업 분야는 △청정수소 △분산에너지 △신재생에너지 △에너지고속도로 △원자력산업생태계 △차세대원자로 △에너지항만 등이다.
도는 먼저 ‘청정수소 생산 및 보급’을 위해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단에 청정수소생산 클러스터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 원전연계 100㎿급 청정수소 생산시스템 운영 기술 개발에 들어간다.
총사업비는 7000억원이며 이 사업은 동해안권 송전제약을 완화하고 전력계통 안정화 기여를 목표로 추진된다.
또 원전을 활용한 청정수소 생산, 저장, 활용에 필요한 소재, 부품, 장비 등의 안전성 확보와 성능 평가를 위한 종합 실증 지원체계 기반을 구축해 울진 국가산단 내 입주 기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포항 블루밸리산단에는 1918억원의 사업비로 ‘수소연료전지 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한다.
‘분산에너지 확산’를 위해서는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선정이 내년 6월 이뤄지면 도는 원전지역 송전제약 PPA(전력구매계약) 모델, 산업단지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공급 모델, 지역별 전기요금제 실현 등을 목표로 하는 ‘경북형 분산에너지 특화모델’을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여기에다 지난해 12월 신규 양수발전소 사업자 공모에 영양, 봉화가 선정됨에 따라 설비용량 1.5GW, 약 3조5000억원의 사업비가 지역에 투입될 예정이어서 지역 경제가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올 하반기 준공을 목표로 진행 중인 에너지융복합지원센터의 역할이 기대된다.
이곳은 융복합단지 관리와 경북 에너지정책의 기획과 사업화를 지원하고 국내 풍력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등 에너지전환정책의 지휘소 역할을 하게 된다.
도는 에너지집적화단지 조성에도 매진한다.
먼저 수상태양광 집적화 단지 조성은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단지(40㎿ 이상)를 개발해 신규 소득원을 창출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도내 7개 댐에 635㎿ 조성을 목표로 추진된다.
산업단지 지붕태양광 조성 사업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에너지 고속도로’ 분야에서는 먼저 ‘수소에너지 고속도로’ 프로젝트가 추진된다.
이는 원전을 연계한 저렴한 수소를 지역 철강산업의 수소환원제철, 수소충전소, 수소발전소 등에 공급하기 위한 수소배관망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총 1000㎞에 이르는 배관망 구축을 위해 2조원 이상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민자사업으로 추진된다.
도는 이와 함께 총사업비 7조원에 드는 동해안 해저전략망 구축에도 나선다.
울진 원자력 전력을 영덕, 포항 등으로 공급하기 위한 동해안 해저 국가 전력망을 구축해 2차 전지, 데이터센터 등 첨단산업의 유치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원자력 산업생태계 조성’ 분야에서는 먼저 원자력 국가산업단지 조성에 매진키로 했다.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 조성은 지난 6월 예타면제가 확정됐고 경주 소형모듈원자로(SMR) 국가산단 조성은 예타 신청 준비 중이다.
도는 두 국가산단의 성공적인 조성을 위해 기업유치 전략수립과 관련 인허가 절차 등도 빠르게 진행할 계획이다.
또 이 사업과 연계해 SMR 스마트 넷제로시티 조성도 함께 추진함으로써 산단, 주거단지에 저렴한 전기, 열, 수소 등을 공급해 CF100(탄소배출제로 100%)을 실현하고 아울러 SMR 국내 독자모델의 실증 1호기 유치 추진으로 SMR 주도권을 확보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차세대원자로 기반 조성’ 분야에서는 문무대왕과학연구소 설립 조기 완료, 용융염원자로(MSR) 기술개발 실증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한다.
이를 위해 총사업비 6500억원 규모로 문무대왕과학연구소에서 MSR 기술개발 및 실증, 선박 운영시스템 개발 등 한국형 차세대 원자로 원천기술 확보 프로젝트가 추진된다.
SMR 제작지원센터 설립도 본격 추진한다.
도는 지난해 7월 SMR소부장 산업생태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데 이어 앞으로 277억원의 사업비로 2025년 공모사업 선정을 목표로 차세대 원자로 기업지원 개발을 마련할 계획이다.
‘에너지항만 구축’은 정부가 추진 중인 동해심해 가스전의 상업 생산을 위해 추진되는 사업이다.
5000억원 규모의 사업비로 영일만항 일원에 가스와 원유 분리 시설, 저장탱크와 수분제거 시설 등을 구축하는 에너지생산플랜트 조성 사업이 추진된다.
경북도는 이와 함께 탄소중립항만 사업도 추진, 3조원 규모의 수소복합터미널을 건립해 수소, 암모니아 인수 저장시설을 만들고 출하설비도 구축할 계획이다.
배후부지에는 해상풍력 지원항만을 조성해 동해안 해상풍력 단지개발을 위한 유지보수 항만시설과 기업집적화 시설 등을 구축하기로 했다.
1조원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 인수기지와 벙커링 터미널도 함께 건설한다.
김병곤 경북도 에너지산업국장은 “에너지 신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 구축과 첨단기업 유치, 기업경쟁력을 강화하는 에너지 대전환 정책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