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전사 동지회와 손잡은 5·18 부상자회·공로자회 등 광주지역 2개 5월 단체가 거센 후폭풍에 직면했다.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이던 이들을 끌어안자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지역사회의 공감이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특전사 동지회와 2개 5월 단체가 지난 19일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를 기습적으로 합동 참배하고 포용과 화해를 내세운 ‘대국민 선언’을 강행하자 광주지역 시민사회단체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광주지역 110여 개 시민사회단체는 23일 ‘오월정신지키기 범시도민 대책위원회’를 발족한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5·18 부상자회·공로자회 집행부에게 범시민적 여론수렴 절차 없이 특전사를 초청해 행사를 강행한 데 대한 사과와 대국민 선언 철회, 집행부 퇴진을 촉구한 뒤 이를 거부하면 모든 관계를 단절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또 5·18 기념행사위원회와 협의해 오는 5월 제4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전야제 등에서 두 단체를 배제하기로 했다.
이번 특전사 초청 행사에 축사를 보낸 각급 기관장과 정치권 인사들의 해명과 사과도 촉구한다는 계획이다. 대책위에는 역대 5·18 기념행사위원장과 기념재단 이사장 등 지역 원로가 대부분 참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책위는 고문단, 자문단, 대표단, 상임대표단, 공동실행위, 사무국 등 조직 체계를 갖춰 출범할 예정이다. 이철우 전 5·18기념재단 이사장 등 이 상임대표단을 꾸린다.
그동안 5·18 정신계승을 주도해온 5·18기념재단과 5월 상주격인 5·18민주유공자유족회 역시 2개 5월 단체의 특전사 초청 행사가 “충분한 논의를 거치지 않았고 정당성을 확보하지 못했다”는데 동조하는 분위기다.
이들은 2개 5월 단체가 5·18의 가해자가 명백한데도 면죄부만 주게 되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진정한 사죄를 거부하는 계엄군 출신 인사들을 무작정 포용하는 건 온당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다. 전남대 민주동우회의 입장은 더 강경하다. 황일봉 5·18부상자회장이 지역사회 반대여론에도 아랑곳없이 특전사 동지회 초청행사를 열었다며 회원자격을 박탈하고 제명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이 단체는 다음 달 1일 전남대 김남주 홀에서 황 회장을 민주동우회원에서 제명하기 위한 총회를 열 계획이다. 2015년 3월 민주동우회 창립 이후 회원을 제명한 사례는 없었다.
전남대 민주동우회는 1980년대와 90년대 민주화운동을 이끌던 총학생회 등 학생운동 출신 인사들의 친목 단체로 현재 1000여 명의 회원 소속돼 있다. 5·18부상자회를 이끄는 황 회장은 1986년 총학생회장을 지냈다.
사단법인 광주·전남 6월항쟁 박흥산(58) 상임이사는 “특전사 초청 행사는 ‘2·19 폭거’에 다름 아니다”며 “2개 5월 단체는 무엇을 얻기 위해 광주 공동체를 분열시키고 잔혹한 학살을 자행한 공수부대원의 피 묻은 손을 잡았는지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