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머리카락 굵기의 광섬유에 반도체 소자를 구현해 내는 신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전북대는 유연인쇄전자전문대학원 김태욱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핵심 플랫폼 기술로 활용될 수 있는 ‘고집적(高集積) 전자섬유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전북대는 미래 꿈의 제품으로 꼽히는 ‘입는 컴퓨터(웨어러블 컴퓨터)’ 개발에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다중 전자회로의 집적화를 통한 차세대 전자섬유 플랫폼’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최근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이 연구에는 KIST 전북분원, 부산대, 전남대, 서울대, 고려대 연구팀 등이 함께 참여했다.

김태욱 교수팀은 머리카락 굵기(직경 150µm)의 광섬유 코어를 기판으로 사용해 그 표면에 반도체 소자를 제작했다. 머리카락 형태의 섬유 기판에 반도체 공적을 적용하기 위해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포토레지스터’(반도체 패턴을 하기 위한 광반응형 고분자소재)를 코팅하는 방법을 적용했다. 10㎝ 길이의 섬유 표면에 트랜지스터, 인버터, 링오실레이터, UV센서 및 온도센서를 성공적으로 구현했다.
이를 의류에 적용해 최고의 전자섬유 집적도와 함께 높은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다양한 구부림, 온도, 그리고 외부 자외선과 함께 땀과 접촉된 상황에서도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안정성을 확인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기존 반도체는 평판형기판(웨이퍼)에서 제작되어 의류에 적용 가능한 웨어러블 컴퓨터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이번 기술은 반도체섬유와 전극섬유를 엮어 만드는 기존 전자섬유와 비교했을 때 섬유 표면에 반도체 소자를 집적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또한 무한히 긴 섬유에 적용할 경우 웨이퍼 기반의 제조 공정과는 달리 연속 공정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돼 웨어러블 반도체 제작의 패러다임 자체를 바꿀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김태욱 교수는 “현존하는 반도체 공정을 적용하여 머리카락 굵기의 섬유표면에 반도체 소자를 만드는 기술로 고집적 고성능 전자섬유 개발이 가능한 새로운 전자섬유 플랫폼 기술”이라며 “이 기술을 적용하면 섬유공장에서 실을 뽑듯, 연속 공정이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고성능 전자섬유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