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수원시는 ‘2022년 실내공기질 관리 종합계획’을 수립해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안심하고 머무를 수 있는 실내환경 조성’이 목표다.
실내공기질 관리 종합계획은 실내공기질 관리 대상 지도·점검 강화, 미세먼지 계절 관리제 관련 특별점검, 건강취약계층 이용 시설 무료측정·컨설팅, IoT(사물인터넷) 활용 실내공기질 상시 측정, 자동관제 사업, 라돈측정기 공유서비스, 경로당 라돈 실태조사·컨설팅 등 6개 추진과제로 구성돼 있다.
먼저 실내공기질 관리 대상 시설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 자가측정·교육이수 의무를 점검하고, 신축 다중이용시설·공동주택의 오염물질 방출 건축자재 사용 여부를 확인한다.
건강취약계층 이용시설은 실내공기질을 무료로 측정해주고, 컨설팅도 제공한다. 대상은 보육시설·노인시설·장애인시설·지역아동센터 등 1401개소다.
또 미세먼지 계절 관리제 기간인 3월까지 지하역사, 도서관, 의료기관, 노인요양시설, 어린이집, 대규모점포, 실내주차장 등 32개소의 실내공기질 특별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IoT(사물 인터넷) 활용 실내공기질 상시 측정·자동관제사업’을 추진한다.
시설에 공기질 측정 센서를 설치하고, 공기청정기 연동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이다.
시는 대상 시설을 공모해 4개소에 설치할 예정이다.
방사성 물질인 라돈(radon, Rn)으로 인한 시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실내 라돈 측정기 공유서비스’는 지속한다.
수원시민은 누구나 측정기를 빌릴 수 있고, 대여 기간은 1일이다.
라돈이 법정 허용기준인 148베크렐(Bq/㎥)보다 높게 측정된 가구에는 라돈 저감 방안을 알려주는 컨설팅을 제공하며, 신규 경로당을 대상으로 라돈 실태조사를 한다.
조청식 시장 권한대행은 “실내공기질 관리 종합계획을 차질없이 추진해 유해 물질 노출 위험이 큰 취약계층의 환경성 질환을 예방하겠다”며 “시민들이 실내에서 안심하고 머무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