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인 쏜 광주 계엄군, 유족 앞 무릎 꿇었다…첫 사과

Է:2021-03-17 16:22
ϱ
ũ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왼쪽)이 16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 접견실에서 자신의 총격으로 숨진 박병현 씨 유가족에게 사죄하고 있다.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 제공, 뉴시스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에 참여했던 공수부대원이 자신의 총격으로 숨진 희생자의 유족을 만나 사죄했다.

17일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진상조사위)에 따르면 전날 오후 광주 북구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5·18 진압 작전에 참여했던 공수부대원 A씨와 희생자인 고(故) 박병현씨 유가족이 만났다.

진상조사위에 따르면 진압 작전에 참여했던 계엄군이 자신이 직접 발포해 특정 민간인을 숨지게 했다고 고백하며 유족에게 사과 의사를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A씨는 국립 5·18민주묘지 민주의 문 접견실에서 자신의 총격으로 희생당한 고 박병현씨의 친형 등 유가족을 만나 고인이 숨지게 된 것에 대해 사죄했다.

그는 “어떤 말로도 씻을 수 없는 아픔을 드려 죄송하다. 저의 사과가 또 다른 아픔을 줄 것 같았다”며 유가족에게 큰절을 올렸다. A씨는 이어 “지난 40년 동안 죄책감에 시달렸다”며 “유가족을 이제라도 만나 용서를 구할 수 있어 다행”이라고 전했다.

A씨의 사과에 고인의 형인 박종수(73)씨는 “늦게라도 사과해줘서 고맙다. 죽은 동생을 다시 만났다고 생각하겠다”며 “과거의 아픔을 다 잊어버리고 마음 편히 살아달라”고 말했다.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왼쪽에서 두번째)이 16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 추모탑에서 자신의 총격으로 숨진 박병현 씨 유가족과 함께 오월 영령에 참배하고 있다.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 제공, 뉴시스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왼쪽)이 16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 접견실에서 자신의 총격으로 숨진 박병현 씨 유가족에게 사죄하고 있다.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 제공, 뉴시스

5·18 당시 25살 청년이었던 고인은 농사일을 도우러 고향인 전남 보성으로 가기 위해 광주 남구 노대동 노대남제 저수지 부근을 지나가다 순찰 중이던 7공수여단 33대대 8지역대 소속이었던 A씨에 의해 사살된 것으로 추정된다.

A씨는 조사에서 “순찰 중 전남 화순 방향으로 걸어가던 민간인 젊은 남자 2명이 저희(공수부대원)를 보고 도망가자 정지할 것을 명령했다”며 “(그들이) 겁에 질려 도주하던 상황에서 무의식적으로 사격을 했다”고 진술했다.

A씨는 또 “고인의 사망 현장 주변에는 총기나 위협이 될만한 물건이 없었다”며 “대원들에게 저항하거나 폭력을 행사한 것도 아니고 단순히 겁을 먹고 도망가던 상황이었다”고 밝혔다. 계엄군의 총격은 무장한 시위대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한 ‘자위권’ 차원이었다는 논리를 정면으로 반박한 셈이다.

진상위는 앞으로 계엄군과 희생자 유가족 간 상호 의사가 있는 경우에는 만남을 적극적으로 주선해 사과와 용서를 통한 과거사 치유에 이바지할 계획이다. 진상위 송선태 위원장은 “당시 작전에 동원된 계엄군들이 당당히 증언해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김아현 인턴기자

5.18 왜곡 형사처벌 각오해야…광주시 강력대응 방침
민간인 사살 계엄군 40년 만에 참회의 눈물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