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포 명령자 찾아야”…문 대통령, 5·18 왜곡 무관용 등 역설

Է:2020-05-17 14:50
ϱ
ũ

문재인 대통령은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아직도 밝혀야 할 진실이 많다”며 철저한 진실 규명과 5·18 관련 역사 왜곡에 대한 무관용을 역설했다. 또 광주의 정신을 확산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방영된 광주MBC와의 인터뷰에서 “아직도 우리 광주 5·18에 대해서는 밝혀야 될 진실들이 많이 있다”며 “마침 5·18진상조사위원회의 본격적인 조사 활동이 시작됐는데, 이번에야말로 아직 남은 진실들이 전부 다 밝혀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여전히 발포의 명령자가 누구였는지, 발포에 대한 법적인 최종 책임이 어디에 있는지, 이런 부분들은 밝혀지지 않았다”며 집단학살 피해, 진실 은폐, 왜곡 공작까지 다 규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진상조사위원회 활동에 많은 기대를 걸고 있고 정부도 적극적으로 뒷받침할 작정”이라고 했다

지난 12일 5·18진상조사위가 출범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은 강제조사권을 강화하는 특별법 개정을 추진하기로 한 상태다.

문 대통령은 우익 진영에서 되풀이되는 5·18에 대한 왜곡과 폄훼에 대해 ‘무관용’ 원칙을 천명했다. 문 대통령은 “민주주의의 관용이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그런 여러 가지 폄훼에 대해서까지 인정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5·18을 폄훼하고 왜곡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단호한 대응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진상을 제대로 규명해내는 것도 그런 폄훼나 왜곡을 더 이상 없게 만드는 하나의 방법”이라며 “추가적인 진실 규명이 없더라도 지금까지 밝혀진 역사적 사실만으로도 광주 5·18은 대한민국 민주화운동의 결정적인 상징으로서 존중받기에 충분하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이 5·18 기념식에 참석하지 않은 데 대해 “기념식이 폄하되는 것이 참으로 분노스러웠다”며 “그 속에 정말 5·18민주화운동 정신에 대한 존중, 진심, 이런 부분이 거의 담겨져 있지 않은 그런 사실들, 또 유족들이 따로 기념식을 치르고 있는 모습들을 보면서 굉장히 민망하고 부끄러운 심정이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취임 첫해인 2017년 5·18 기념식에서 민주열사들의 이름을 호명한 것과 관련해선 “5·18이 광주라는 특정한 지역으로 국한되는 운동이 아니다”라며 “광주 밖에도 많은 5·18들이 있고 그래서 광주의 정신이 대한민국 전체의 민주화운동의 정신과 이념으로 확장돼야 한다는 사실을 국민들도 기억해야 된다. 그런 말씀을 드리고 싶었던 것”이라고 했다.


5·18이 되면 떠오르는 인물에 대한 질문에는 노무현 전 대통령을 언급하며 광주 정신의 확산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저는 5·18 하면 조금 이야기가 멀어질지 모르겠지만 노 전 대통령, 그러니까 그 당시의 노무현 변호사가 제일 먼저 생각이 난다”며 “1980년대 이후의 부산 지역 민주화운동은 광주를 알리는 것이었다. 광주를 알게 될수록 시민들은 그 당시 광주가 외롭게 고립돼서 희생당했는데 거기에 동참하지 못하고 그냥 내버려뒀던 사실에 대해서 큰 부채의식을 가지게 됐고, 그것이 민주화운동의 또 하나의 원동력이 됐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1987년 6월 항쟁 당시 노 전 대통령과 함께 부산에서 1980년 광주의 참상을 알린 비디오를 상영한 것을 회고하면서 “그런 일들을 함께했던 노무현 변호사, 광주 항쟁의 주역은 아니지만 광주를 확장한 분으로서 기억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취임 첫해인 37주년 기념식에 이어 지난해 39주년 기념식에도 참석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