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와 관련, 인천지역 47개 시민사회단체들로 구성된 인천내항 1,8부두 공공재생을 위한 시민행동은 29일 성명서를 통해 “현재 인천항만공사(이하 IPA)는 ‘인천내항 1·8부두 항만재개발 사업화계획 보완용역(이하 보완용역)’을 추진하고 있으나 시간을 끌며 땅값을 올리려는 의도가 분명하다”며 “인천내항시민행동은 시간끌기를 즉각 중단하고 1·8부두를 인천시민들에게 개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IPA가 이달 초 발주한 보완용역이 항만법에 따른 항만재개발사업 승인을 위한 용역으로 볼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인천내항 1·8부두 항만재개발 사업계획수립’은 이미 2014년 환경부 협의가 완료된 상태”라면서 “현재 IPA가 추진하려는 사업은 면적 45만㎡로 당초 협의면적인 29만1731㎡에서 55%나 증가해 환경부와 재협의해야 하는데도 IPA는 환경영향평가 재협의에 대한 계획을 밝히지 않고 있어 결국 IPA의 보완용역은 항만법에 따른 항만재개발사업 시행과 무관한 것을 반증한다”고 지적했다.
IPA는 인천항 재개발사업의 수지타산을 검토하기 위해 2011년 ‘인천항 재개발사업의 체계적인 시행방안 수립용역’을 시행했다. 이때 1·8부두의 공시지가를 ㎡당 34만7526원로 분석했다. 현재 내항의 공시지가는 ㎡당 78만~129만원로 형성돼 있다.
이에 따라 인천지역시민사회는 IPA의 보완용역이 항만재개발사업 전 용도지역 변경을 통해 자산을 증가시키고 사업 후 주택용지 매각으로 수익을 극대화하려는 꼼수가 아니냐고 지적한다.
이들은 “제3차 항만기본계획에 따라 인천내항 1·8부두는 올해 항만기능이 폐지됐다”며 “토지소유를 주장하는 IPA가 단돈 몇 만원이라도 더 비싸게 토지를 매각하고 고밀도 도시계획으로 땅값을 두둑하게 챙기겠다는 계산만을 하고 있다면 정말 곤란하다”고 밝혔다.
따라서 항만기능이 폐지된 1·8부두를 인천시민들에게 즉시 개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