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관가뒷談]중국 내 한국공관, 열화상 카메라 설치 지연 ‘비상’

Է:2020-02-02 17:31
ϱ
ũ
중국 내 재외공관에 열화상 카메라 설치키로
국산 제품 품귀에 길게는 한 달 걸려
외교부 “수요 파악 후 중국 제품으로 설치”


교포뿐만 아니라 중국에 있는 재외공관에서 근무하는 공무원들의 안전에도 비상이 걸렸다. 현지 민원인을 대면해야 하는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신종 코로나)을 확인할 장치가 없다. 민원인의 발열 여부를 살피는 ‘열화상 카메라’를 도입하기로 결정됐지만, 시간만 흐르고 있다. 한국에서조차 품귀현상이 빚어지면서 재외공관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2일 외교부에 따르면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하기로 결정하고 재외공관 10곳에 수요 조사를 하고 있다. 베이징에 있는 주중 대사관과 8곳의 총영사관(광저우·상하이·선양·시한·우한·청뚜·칭다오·홍콩), 다롄 출장소가 대상이다. 외교부 관계자는 “현지 수요를 확인하는 대로 도입을 서두를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나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가 창궐했던 시기와 달라진 풍경이다. 그만큼 신종 코로나의 감염력이 높다는 인식이 깔려 있다. 현재로선 재외공관의 민원 업무를 중단하지 않는 이상 직원과 감염 가능성이 있는 민원인의 접촉을 차단할 장치가 없다. 이에 열화상 카메라를 도입해 발열 증상이 있는지를 살펴보기로 했다. 관련 예산도 충분하다.

그러나 실제 설치까지 갈 길이 멀다. 한시라도 급하지만, 열화상 카메라를 구할 방법이 없다. 1대에 수백만원을 호가할 정도로 비싼데도 한국산 제품은 품귀현상을 보이고 있어서다. 신종 코로나의 위협에 한국 내 수요가 폭증한 탓이다. 공항뿐만 아니라 병원, 학교 등에서 싹쓸이하다시피 해 재외공관에 돌아갈 물량이 없다고 한다.

여기에다 한국산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하려면 한국 업체에서 인력을 파견해야 한다. 외교부에서는 인력 파견이 가능하다고 해도 설치까지 최소 한 달은 걸린다고 본다. 신종 코로나의 발원지인 우한 총영사관 등 상황이 급박한 곳이라고 예외는 없다. 외교부 관계자는 “중국 업체의 열화상 카메라를 구매해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일단 외교부는 중국에 있는 재외공관에만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할 방침이다. 다만 설치 지역이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지난달 31일 기준으로 중국을 제외하고 한국 등 19개국에서 신종 코로나 확진환자가 발생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