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국 법무부 장관의 배우자 정경심 동양대 교수가 지난 5일 오전 검찰에 비공개로 다시 나와 조사를 받은 뒤 15시간만에 귀가했다. 지난 3일에 이어 두 번째 출석이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고형곤)는 이날 오전 9시 검찰에 출석해 오후 11시55분에 귀가했다고 6일 밝혔다. 정 교수가 15시간가량 머무는 동안 검찰의 질문에 답하는 실질적인 조사 시간은 2시간40분에 불과했다.
정 교수는 5일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는 지난 3일 첫 소환 때 작성된 조서를 꼼꼼하게 살폈다고 한다. 중간중간 휴식과 식사 등을 포함해 1차 조서 점검에만 전체 조사 시간의 절반가량인 7시간이 걸렸다. 이어 오후 4시부터 오후 6시40분까지 2시간40분간 추가 조사를 받았다. 오후 7시30부터 오후 11시55분까지는 이날 작성된 조서를 열람하고 서명·날인 후 귀가했다.
정 교수는 지난 3일 첫 소환 당시엔 오전 9시쯤 출석해 오후 5시쯤 귀가했다. 이 때 실제 조사받은 시간은 약 5시간이었다고 한다. 1~2차 소환에서 실제로 검찰 조사에 응한 것은 7~8시간이었던 셈이다. 대신 작성된 신문조서를 꼼꼼하게 살펴보는데 11시간이 넘게 걸렸다.
신문조서엔 피의자와 검사 혹은 수사관 사이에 오간 문답이 적혀 있다. 피의자가 검찰 조사에서 무심코 했던 말이 향후 법정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만큼 방어권 차원에서 조사가 마무리된 뒤 조서 검토는 필수적이다.
공개 소환으로 서울중앙지검 특수부에 불려온 전직 대통령들에 비해서도 정 교수의 조서 열람 시간은 긴 편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14시간 조사를 받은 뒤 열람에 7시간30분을 썼고, 이명박 전 대통령은 15시간 조사를 받고 6시간 동안 조서를 열람했다. 한 변호사는 “일반인이 7~8시간 조사를 받으면 조서 열람엔 통상 30분, 길어야 1시간이 소요된다”며 “실제 조사보다 신문조서 열람에 더 많은 시간을 쓸 있는 건 이례적인 것만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당초 검찰은 정 교수에게 4일 출석을 통보했으나 정 교수는 건강 이상을 호소하며 입원했고, 5일 검찰에 출석했다. 이날도 조사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아 검찰은 정 교수에게 다시 출석하도록 통보했다.
구승은 기자 gugiza@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