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정보원이 최근까지 ‘정보원’을 통해 민간인 동향 등을 파악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시민단체들이 진상 규명과 국정원 개혁을 촉구했다.
참여연대,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 모임 등으로 구성된 ‘국정원감시네트워크’와 ‘국가정보원 프락치 공작 사건 대책위원회’는 24일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국정원을 대대적으로 개혁하겠다고 여러 차례 약속해왔지만, 임기가 반환점에 이른 지금까지 진전이 없다”며 “국정원의 DNA는 변한 게 없다”고 밝ㅎㅆ다.
이들에 따르면, 국정원은 2014년 10월부터 올해 8월까지 정보원을 고용해 특정 대학 출신의 민간인 사찰을 해왔다.
자신을 정보원 출신이라 밝힌 A씨는 “국정원의 지시로 회원 1500여명이 활동하는 시민단체에 가입해 운영진으로 활동하면서 모든 모임과 개인 대화 등을 녹음했다”고 국정원감시네트워크에 진술했다. 녹음기는 국정윈이 직접 제공했다. A씨는 녹음한 파일을 넘겨줄 때마다 국정원 경기지부에 가서 진술서를 작성하고 월급과 성과급을 받았다.
국정원감시네트워크는 “국정원은 프락치 활동 대가로 한 달에 200만원, 허위 진술서를 작성할 때마다 50만∼80만원을 추가 지급했다”며 “이번 사건은 국정원법상 직권남용죄, 국가보안법상 무고·날조죄 등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A씨는 “국가 권력의 압박을 이기지 못하고 해서는 안 될 행위를 했다. 경제적 예속 관계가 이어졌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그들(국정원)이 준 녹음기를 들고 동료였던 사람들, 예전 선후배를 만나러 갔다”고 증언했다.
이홍근 인턴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