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성년자 성범죄 혐의로 수감됐다가 사망한 억만장자 제프리 엡스타인(66)과 관련한 음모론을 리트윗해 논란이 일고 있다. 해당 트윗은 엡스타인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사실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보수 성향 배우 겸 코미디언인 테런스 윌리엄스가 엡스타인의 죽음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 트위터 글을 리트윗했다. 윌리엄스는 “24시간 7일 내내 자살 감시를 받는데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오 그래! 어떻게 그게 발생했지. 제프리 엡스타인은 빌 클린턴과 관련한 정보를 갖고 있었고 이제 그는 죽었다”고 적었다.
그는 “‘#트럼프바디카운트’(트럼프 대통령 관련 사망자수)란 해시태그가 쓰이는 게 보이지만 우린 누가 이런 일을 저질렀는지 안다!”며 “당신이 (엡스타인의 사망 소식에) 놀라지 않았다면 리트윗해달라”고 덧붙였다.

헤지펀드 매니저 출신인 엡스타인은 2002~2005년 미성년자 20여명을 상대로 성매매를 하는 등의 혐의로 지난달 6일 체포됐다가 이날 숨진 채 발견됐다. 그는 과거에도 비슷한 일로 한 차례 기소됐으나 국내외 유력자들과의 인맥 등을 바탕으로 법망을 비켜나간 전력이 있다. 이런 이유로 그의 죽음을 놓고 절친한 관계로 알려진 정·관계 거물들도 성범죄 등에 연루됐을 것이란 의혹이 제기돼왔다.
특히 클린턴 전 대통령의 경우 엡스타인 소유의 개인 비행기를 여러 차례 이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타임스(NYT)는 엡스타인이 피해자들에게 성행위를 요구한 장소인 맨해튼 고급 주택에 클린턴 전 대통령이 서명한 사진이 있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클린턴 대통령이 엡스타인과 친밀한 관계였음을 드러낸 것이다.
이에 엡스타인이 자살로 위장돼 살해됐을 수 있다며 클린턴 전 대통령의 이름까지 거론한 윌리엄스의 글을 트럼프 대통령이 리트윗하자 클린턴 측은 강하게 반발했다. 클린턴의 대변인은 트위터를 통해 “터무니없고 당연히 말이 안 된다. 도널드 트럼프도 이를 안다. 그는 이미 (직무 불능에 빠진 대통령의 권한과 직무를 부통령에게 넘기는) 수정헌법 25조를 발동하게 하지 않았나”라고 말했다.

현지 언론도 엡스타인이 지난달 첫 번째 자살 기도 이후 한때 자살 감시를 받았으나 이후 감시가 해제됐다면서 윌리엄스의 음모론은 아무런 근거가 없다고 비판했다. 백악관 당국자들은 이와 관련해 즉각적인 입장은 내지 않고 있다.
한편 현지에서는 이런 식의 음모론을 퍼뜨리는 행위가 정당화된다면 트럼프 대통령 역시 음모론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2002년 뉴욕 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엡스타인을 “멋진 녀석” “같이 어울리면 정말 재밌다”고 말한 바 있다. 또 “그는 심지어 나만큼 미녀를 좋아한다는 소리를 듣는다. 그리고 그 대부분은 나이가 어린 편”이라고 말했다.
미국 정치권 일각에선 엡스타인이 실제로 살해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민주당 소속 로이스 프랑켈 하원의원(플로리다)은 엡스타인의 과거 범죄사실에 대해 의회 차원의 조사를 진행해야 한다며 스스로 목숨을 끊었는지도 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엡스타인)가 죽기를 원하는 막강한 자들이 많이 있다. 정말로 자살일 뿐이었던 것인가”라며 “단연코 이에 대한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진영 기자 you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