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가 6월 고용동향에서 취업자 증가폭이 5개월 연속 10만명 전후로 머무는 것에 대해 구조적 문제가 반영된 것으로 보고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청와대 관계자는 11일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고용동향이 지난달보다는 나아졌지만 취업자 수가 많이 부진한 것에 대해 우려를 가지고 있다”며 “우리 경제의 고용창출력이 떨어진 이유와 대응을 점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통계청은 11일 고용 동향을 발표하고 지난달 취업자를 2712만6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만6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고 밝혔다. 지난달을 기준으로 실업자 수는 103만4000명으로, 전체 실업률은 3.7%로 나타났다. 취업자 수는 우리 경제 규모와 인구 요소 등을 감안할 때 30만명가량 증가해야 정상 수준으로 여겨진다. 지난 1월 33만4000명이던 취업자 증가 수는 2월 10만4000명으로 감소한 뒤 3월 11만2000명, 4월 12만3000명으로 약세를 보이다 5월 들어서는 급기야 10만명 선마저 무너진 7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5월엔 취업자 증가 폭이 37만명이었다.
가장 부진한 항목은 제조업과 교육서비스업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취업자는 12만6000명 줄어 3개월 연속 감소한 모습을 보였고 교육서비스업 취업자 역시 10만7000명이 감소했다. 도소매·숙박음식업 취업자는 3만1000명이 줄어들어 지난해 12월부터 7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반면 정부 재정이 투입된 부문인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와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부문 등에서는 취업자가 증가했다.
고용 상황이 금융위기 시절보다 좋지 않은 상황이라는 분석과 함께 고용상황 악화가 정부 정책이 자초한 것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최저임금이 올라가면서 비숙련 근로자들의 일자리가 급감했고, 일부 불평등지수 역시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지속적으로 늘어왔던 비공공행정(민간 일자리)부문 취업자 역시 감소 추세를 보이면서 고용 추세의 부정적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늘고 있다.
김종형 객원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